대선 정국이 본격화되면서 전북도가 ‘전북 몫 찾기’ 일환으로 광주에 편중된 공공·특별행정기관 전북 이전과 기구 승격에 사활을 걸었다. 전북혁신도시 내에 공공·특행기관 이전과 승격 등을 추진해 정주인구를 현재 2만5000명에서 10만명까지 확대, 자족도시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전북도는 제19대 대선 공약으로 광주에만 지역본부나 지사가 있는 공공기관 20곳과 특행기관 7곳에 대해 전북본부 신설과 승격을 추진하기로 했다. 공공·특행기관 호남본부를 전북본부와 광주·전남본부로 분리하고, 지사나 지청 등을 본부로 승격하자는 것이 골자다.
그동안 정부는 공공·특행기관 배치와 관련해 영남을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로 구분하고, 각각 기관을 배치했다. 반면 주민 생활권과 경제권이 다른 전북은 광주·전남과 합친 호남권역으로 보고, 대부분의 기관을 광주에 설치했다. 이로 인해 전북도민이 광주지역에 위치한 공공·특행기관 호남본부를 이용하면서 시간·경제적인 비용 손실과 불편을 겪었다.
실제 현재 호남권을 관할하는 공공·특행기관은 모두 49곳이다. 이 가운데 전북에 4곳(8%)이 있는 반면 전남은 5곳(10%), 광주는 40곳(82%)으로 광주지역에 편중된 실정이다. 공공기관은 전북 1개·전남 4개·광주 28개로 총 33개, 특행기관은 전북 3개·전남 1개·광주 12개로 총 16개다. 특히 2009년 2월 전북통계청은 호남통계청(광주)으로, 2012년 한국은행 전북본부의 화폐수급 업무는 광주·전남본부로, 2014년 사학연금공단 전북지사는 호남지사(나주)로 통합되면서 도 단위의 공공서비스를 받을 전북도민의 권리마저 상실됐다.
이와 관련해 전북도는 광주지역 공공·특행기관 40개 가운데 새만금지방환경청처럼 지사나 지청 등에서 이미 전북본부 역할을 수행하거나 지역 내 수요가 미미한 기관을 제외한 27곳을 추렸다.
특히 광주에만 지방청을 두고 있는 고용노동청, 국세청, 기상청, 보훈청 등 특행기관 7곳의 전북 지방청 승격이 우선 과제로 대두됐다.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한국소비자원, 한국거래소, 한국환경공단, 신용보증기금 등 공공기관 20곳도 전북본부 신설과 승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