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세종역 신설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세종역이 신설되면 정차 역간의 거리가 20㎞로 짧아져 호남·전라선 고속철이 사실상 ‘완행 저속철’로 둔갑되는 동시에 운행시간도 10여분 지체된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지난 2016년 8월부터 ‘KTX 세종역 신설 사전 타당성 조사용역’을 추진, 지난 3월 말 용역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수서발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KTX 증편 등을 이유로 용역 결과 발표를 4월로 연기했지만 또 연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을 앞두고 세종역 타당성 조사용역 결과가 발표될 경우 세종역 신설이 대선 민심을 가르는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종역 신설은 세종시의 ‘2030세종 도시기본계획’에 포함돼 있으며, 지난 20대 총선 때 이해찬 의원이 KTX세종 정차역 신설 추진을 공약했다.
현재 세종역 신설과 관련 전북과 전남, 광주, 충남, 충북이 반대하고 있다.
KTX 오송역(충북)과 공주역(충남)의 거리는 44㎞로 두 역 사이에 세종역이 신설될 경우 KTX는 20㎞마다 정차하게 된다.
KTX 저속철 논란은 지난 2005년 호남선 KTX 분기역이 천안에서 오송으로 바뀌면서 호남선 운행거리가 19㎞ 늘어 호남 지역민의 반발을 샀다.
여기에 지난해 4월 논란이 됐던 호남KTX 공주역과 익산역 사이에 논산훈련소역을 신설하는 국토교통부의 ‘호남고속철도 논산(훈련소)역 신설 타당성 조사연구용역’문제까지 다시 불거질 경우 KTX를 둘러싼 지역간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충북도와 충북도의회, 충북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7일 KTX 세종역 신설 저지를 위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으며, 세종역 신설 백지화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국토교통부 항의 방문과 대규모 규탄 집회 등 강력한 대응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북과 광주, 전남은 아직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교통물류 전문가는 “세종역이 신설되면 고속철 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라며 “전북도가 다른 지역과 연계해 세종역 반대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