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2:53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스포츠 chevron_right 스포츠일반
일반기사

[U-20 월드컵은 전주컵 ③ 역대 한국 팀 성적] 1983년 멕시코서 '4강 신화'…8강 3회·16강 2회 진출

1979년 일본서 개최한 2회부터 총 13회 출전 / 1981년 호주 대회 때 이탈리아 4-1 제압 기염 / 박종환 감독 앞세운 1983년 '붉은악마' 선풍

▲ 멕시코 세계 청소년 축구대회 세계4강 진출 기적을 낳은 주역인 박종환 감독(왼쪽)과 원흥재 코치가 귀국해 카퍼레이드를 벌이며 연도의 시민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금부터 40년 전인 1977년 아프리카 튀니지에서 첫 대회가 열린 U-20 월드컵 대회의 한국 도전사는 2회 대회인 1979년 일본에서부터 시작된다.

 

한국의 젊은 태극전사들은 일본 대회 이후 1985년, 1987년, 1989년, 1995년, 2001년, 2015년을 빼고 총 13번에 걸쳐 대회에 출전한다.

 

한국 U-20 월드컵 도전 역사의 최고봉은 1983년 박종환 감독이 이끌며 달성한 멕시코 4강 신화다. 대한민국 축구의 별칭 ‘붉은 악마’도 이 때 생겨났다. 이후 한국은 8강 3회, 16강 2회 진출의 성적을 거둔다.

 

△1979년 한국의 첫 출전

 

한국은 1978년 아시아축구연맹(AFC) 유스 챔피언십에서 이라크와 공동우승을 차지하며 일본에서 열린 1979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현 U-20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는다.

 

1979년 대회에서 한국은 첫 경기 파라과이전에서 0-3으로 진 뒤 8월 27일 캐나다와의 2차전에서 이태호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대회 첫 골과 첫 승리를 기록한다. 이어 포르투갈과 0-0으로 비겼지만 골득실차에 뒤져 조3위가 되면서 8강 진출에 실패한다.

 

△이탈리아 잡은 81년 대회

 

한국은 1980년에도 AFC 유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 역시 아시아 챔피언 자격으로 1981년 호주 대회에 나간다.

 

한국은 이탈리아, 루마니아, 브라질과 ‘죽음의 조’에 편성된다. 그럼에도 한국은 첫 상대인 이탈리아를 4-1로 꺾는 파란을 일으킨다. 승리의 주인공은 현재 포항 스틸러스 감독을 맡고 있는 최순호로 2골을 기록한다.

 

하지만 한국은 루마니아에 0-1, 브라질에 0-3으로 지면서 8강 진출의 꿈을 접는다.

 

△83년 ‘붉은 악마’의 시작

 

AFC 유스 챔피언십에서 3연패를 달성한 한국은 박종한 감독을 앞세워 멕시코 대회에 3연속 도전장을 내민다.

 

예선전 상대는 개최국 멕시코와 스코틀랜드, 호주로 만만치 않은 조편성이었다.

 

한국은 첫 상대 스코틀랜드에 0-2로 패했지만 멕시코를 2-1로 꺾고 8강 진출의 불씨를 살린다. 이어 3차전서 호주를 2-1로 꺾으며 조2위로 첫 8강에 오른다. 3차전 수훈갑은 결승골을 기록한 김종부.

 

한국의 돌풍은 이어진다. 8강 상대인 우루과이를 만나 연장 접전 끝에 2-1 승리를 거두고 준결승에 진출한 것. 신현호는 이 경기에서 멀티골로 스타덤에 오른다.

 

하지만 준결승에서 만난 브라질에게 패하고 3, 4위전서 폴란드에게도 지면서 4위에 만족해야 했지만 붉은 유니폼을 한국 축구의 돌풍으로 ‘붉은 악마’라는 애칭을 얻게 된다.

▲ 피파 U-20 월드컵 코리아 2017 우승컵.

△8년만의 대회 출전

 

한국은 85년, 87년, 89년 대회 참가를 못한 채 8년 만인 1991년 출전 자격을 얻는다.

 

더구나 1991년 포르투갈 대회는 남북 단일팀이 출전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남북 선수가 1:1 비율로 구성된 단일팀은 주로 남쪽이 수비진, 북쪽이 공격진을 맡는다.

 

첫 상대 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킨 한국은 아일랜드와 1-1로 비기고 3차전에서 루이스 피구 등이 활약한 포르투갈에 0-1로 졌지만 조2위로 역대 두 번째 8강 진출에 성공한다.

 

그러나 한국은 8강서 만난 브라질의 벽을 넘지 못하고(1-5패) 귀국했지만 남북 단일팀이 보여준 파이팅으로 한민족의 힘을 지구촌에 과시한다.

 

△무패 성적에도 8강 실패

 

1993년 호주 대회는 한국에게 참으로 불운했다. 아시아 대회 준우승 자격으로 출전한 한국은 조별리그에서 승리도 패배도 없는 3무를 기록하며 승점 3점을 얻었지만 같은 승점 3의 미국에 골득실에서 밀려 8강 진출이 무산된다. 특히 한국은 3경기 모두 선제골을 기록하고도 후반 막판 동점골을 내준 게 아쉬웠다.

 

△치욕적인 3-10 대패

 

1997년 말레이시아 대회에서 한국은 다시 죽음의 조를 만난다.

 

다행히 첫 상대는 남아공으로 승점을 챙겨야 했지만 0-0 불길한 무승부를 기록한다.

 

이어 한국은 프랑스와 만나 후반 9분 박진섭이 첫 골을 넣기까지 무려 4골을 내준다. 축구 스타 티에리 앙리와 다비드 트레제게에게 각각 2골을 헌납한 것. 박진섭의 추가골이 있었지만 승부는 이미 갈렸다.

 

3차전은 한국의 U-20 출전 사상 치욕으로 남는 경기였다.

 

최강 브라질에게 전반에 6골을 내주며 0-6으로 후반을 맞이한 한국은 3골을 만회했지만 4골을 더 내주면서 3-10 이라는 최악의 참사를 맞이한다.

 

△이동국, 설기현, 송종국 출격

 

1999년 나이지리아 대회는 조영증 감독이 이동국, 설기현, 송종국, 김은중 등 스타급 플레이어를 데리고 명예 회복에 나선다.

 

한국은 포르투갈, 우루과이, 말리와 같은 조로 예선 대진표는 무난했다.

 

반면 성적은 기대에 못미쳤다.

 

첫 상대 포르투갈에 1-3으로 패한 한국은 우루과이에게 0-1로 승리를 내줬다.

 

최종전에서 한국은 2골의 설기현과 이동국, 나희근이 1골씩을 기록하며 4-2로 말리를 제압했지만 조 최하위로 짐을 싸야 했다.

 

△2000년대의 각종 기록들

 

2003년 아랍에미리트 대회에서 한국은 예선에서 독일을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와일드카드로 16강에 올랐지만 일본에게 뼈아픈 역전패를 당한다. 최성국의 선제골에도 사카타에게 후반 실점과 연장 결승골을 내준 것.

 

2005년은 축구 천재 박주영이 주목받은 대회였다. 아시아 예선 6골 2도움으로 득점왕과 MVP에 오른 박주영은 2차전에서 0-1로 끌려가다 후반 막판 프리킥 동점골을 터트렸고 후반 추가시간 백지훈의 역전골로 승부를 뒤집는다. 그러나 스위스와 브라질에 패해 16강에는 오르지 못한다.

 

2007년 캐나다 대회의 한국 성적은 2무1패였다, 그럼에도 매 경기 내용은 나쁘지 않았다. 미국과 1차전은 우세 속에 1-1, 브라질과는 0-3으로 끌려가다 연속골로 1점차 추격, 폴란드와의 3차전은 1-1이었다. 한국의 기성용과 이청용, 신영록이 돋보였다.

 

2009년은 홍명보의 아이들이 18년 만에 8강에 오른 의미있는 대회였다.

 

홍 감독이 이끈 이집트 대회에서 한국은 카메룬에 0-2로 패했지만 독일과 1-1로 비긴 뒤 미국을 3-0으로 대파하고 16강에 진출한다. 미국전에서 김보경, 김영권, 구자철이 3골을 합작한다.

 

파라과이와의 16강전에서 김보경의 선제골과 김민우의 멀티골을 앞세워 한국은 8강에 나간다.

 

하지만 한국은 8강전에서 2골을 넣고도 2-3으로 가나에 패한다. 이후 가나는 헝가리와 브라질을 꺾고 우승한다.

 

△2011년 아쉬운 승부차기

 

개최국 콜롬비아, 프랑스, 말리와 같은 조에 속한 한국은 작고한 이광종 감독이 지휘봉을 잡는다.

 

1차전 말리를 2-0으로 누른 한국은 프랑스와 콜롬비아에 연패했지만 와일드 카드로 16강에 오른다.

 

문제는 스페인전. 한국은 연장까지 가는 접전 끝에 맞이한 승부차기에서 실축이 잇달으면서 8강 진출에 아쉽게 실패한다.

 

△재현된 승부차기 악몽

 

다시 이광종 감독이 이끈 한국은 2013 터키 대회에서 쿠바에게 2-1 역전승을 거둔 뒤 포르투갈전 2-2, 나이지리아전 0-1 성적을 올리며 조3위로 16강에 진출한다.

 

콜롬비아를 상대한 한국은 선제골을 지키지 못하고 1-1 동점을 허용하고 연장에 이은 승부차기를 벌인 결과 어렵서리 8강에 진출한다.

 

한국의 8강전 상대는 이라크. 전후반 2골씩을 주고받은 양팀은 연장전에서도 각각 1골씩을 기록하며 또 승부차기에 들어간다. 한국은 실축과 상대 골키퍼의 선방으로 준결승 진출이 좌절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성중 yaksj@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스포츠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