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오메가-3 성분', 식물세포에서 찾았다

전북대·한국생명공학硏 공동연구 성과…대량생산 가능

현대인의 영양제로 잘 알려진 ‘오메가-3’의 주성분을 식물세포에서 쉽게 채취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전북대는 생명공학부 박승문 교수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정우 박사가 오메가-3의 성분인 항산화 물질 아스타잔틴과 DHA를 공급할 수 있는 종균을 확보하는데 성공, 이를 기술 이전하여 상용화 체제에 들어섰다고 19일 밝혔다.

 

아스타잔틴을 함유한 오메가-3는 그동안 크릴새우에서만 얻을 수 있었지만, 크릴새우는 바다 생태계 먹이사슬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어 채집이 제한됐다. 연구팀은 오메가-3의 성분으로 생선이나 크릴새우 등에서 얻었던 DHA와 아스타잔틴을 식물세포인 스키조키트리움에서 찾아냈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성과는 크릴새우를 대체하고 보완할 수 있는 천연 후보 물질을 찾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진이 확보한 종균은 전북도에서 추진하는 전북 연구개발특구 사업을 통해 전북대 LED농생명융합기술연구센터에 입주해 있는 (주)아스타바이오에 기술이전 돼 생산될 예정이다.

 

전북대에 따르면 아스타잔틴은 활성산소 제거능력(ORAC) 평가에서 비타민A, 비타민E에 비해 300배 이상,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루테인보다 47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능력을 갖고 있다.

김종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청춘예찬] 그땐 그게 전부였다 – 정신건강편

오피니언[금요칼럼]선호투표제가 대안이다

오피니언[기고] 꿈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것들

만평[전북만평-정윤성] ‘이재명 계엄’ 한동훈에게 한동훈이….

자치·의회숙원사업인데...맹탕으로 끝난 '제3금융중심지' 도민설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