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척도 될 로드맵·영남권 협업 매뉴얼 시급 / 발굴 뒤 정확한 규명통해 복원사업 추진 필요
도내 외 전문가들은 전북의 가야사 복원이 영남권과의 속도전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사업중복과 예산낭비를 방지하고,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독창성 있는 가야문화 복원을 위해서다. 전문가들은 이를 위해 학술발굴조사 로드맵과 협업 매뉴얼 마련, 오랜 고증과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학술발굴조사 로드맵과 협업 매뉴얼 마련= 전문가들은 학술조사 로드맵과 협업 매뉴얼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학술조사로드맵 마련은 중요하다. 발굴과 고증에 투입될 예산 배분의 척도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북도 가야문화유산 복원사업의 중심에 있는 곽장근 군산대 교수는 “그 동안 가야사에 대한 지원이 없어 발굴작업을 하기 힘들었다”며 “현재 파악된 유적들도 지표조사로 실체만 확인된 것들이 많다”고 밝혔다.
그 간 예산부족으로 가야사 복원의 핵심토대인 발굴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최근 가야사 복원에 뛰어든 영남권 일부 지역들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이번에는 발굴과 연구에 충분한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또 역사복원을 명목으로 도로 및 철도 구축, 지역 특화산업 육성 등에 예산이 쓰이는 것을 방지하자는 의미도 담고 있다.
영남권과의 협업 매뉴얼 마련은 사업중복과 예산낭비를 방지하려는 대책의 일환이다.
전문가들은 “영남권과의 협업과 계속된 논의가 이뤄져야 양 지역이 겹치는 부분 없이 차별화된 가야사 복원, 역사 스토리텔링, 관광자원화가 이뤄질 수 있다”며 “게다가 중구난방식의 예산투입과 양 권역 간의 경쟁으로 인한 갈등도 방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충분한 고증과 연구 선행= 역사학계 전문가들은 전북의 가야사를 제대로 조명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을 둔 고증과 연구를 선행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발굴조사와 연구성과를 축적해서 얻은 객관적 지식을 토대로 정확한 복원을 하자는 것이다.
안정준 경희대 연구교수는 “가야사는 연구성과가 적어 완전히 규명이 이뤄진 상황이 아니다”며 “발굴 후에도 계속된 연구를 통해 정확한 규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충분한 연구결과가 도출된 뒤 자치단체의 복원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곽장근 교수도 고증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거듭 강조하고 있다.
곽 교수는 “영남권 유물은 한국의 문헌과 일부 일치해 정확히 규명되는 부분이 있는데 전북은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며 “전북 가야의 정확히 규명을 위해선 발견된 유적과 중국, 일본사료의 폭넓은 활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충분한 고증과 연구성과가 전제돼야 관광자원화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고대사 전문가는 “전북도 제철유적과 봉수라는 독창성이 있지만 아직 전북의 가야사를 스토리텔링할 정도로 연구성과를 축적하지 못한 상황이다”며 “대중들을 상대로 흥미롭고 올바른 역사콘텐츠나 스토리텔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술이 집중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관계자는 섣부른 고증으로 인해 생기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예컨대 김해에서 김수로왕의 부인인 허황후가 인도출신이라면서 인도에서도 홍보를 펼치는 등 다방면으로 상품화를 하는데, 전혀 검증되지 않은 사실로 관광마케팅을 하고 있다”며 “왜곡된 역사로는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가 불가능하며, 나중에 이런 부분을 바로잡는 데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끝>끝>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