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책회의서 8·27 전당대회 규칙 최종 의결 / 1차서 50%이상 득표 없을땐 1~2위간 2차 투표 / 출마의지 안 굽힌 安 전 대표 둘러싸고 여진 계속
결선투표제가 국민의당 8.27 전당대회 당 대표 선거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국민의당은 7일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고 결선투표제 도입 방안을 포함한 전대 규칙을 최종 의결했다.
이에 따라 1차 투표에서 50% 이상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1~2위 간 2차 투표를 통해 당 대표를 선출한다. 당 대표 선거에 결선투표제가 적용되면서 안철수 전 대표 측과 천정배·정동영 의원 측은 선거전략 마련에 고심하는 모습이다.
일단 안 전 대표 측은 1차 투표에서 과반을 넘겨 조기에 승리를 굳히겠다는 태세인 반면, 천정배 전 대표와 정동영 의원 측은 결선투표까지 넘어갈 경우 비안 전선을 구축해 판세를 유리하게 이끌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 전 대표 측의 한 관계자는 “안 전 대표가 공직선거에서 결선투표를 주장해온 만큼 명분상 당에도 도입하는 것이 맞다. 정동영·천정배 두 분이 단합하면 안 전 대표에게 불리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8대 대선에서 민주통합당 문재인, 손학규, 김두관, 정세균 네 분이 경선할 때에도 결선투표가 도입됐는데, 문재인 후보가 1차 투표에서 50% 이상을 얻었고, 지지 세력이 결집됐다”고 덧붙였다. 지지세력 결집을 통해 1차 관문에서 승기를 거머쥐겠다는 복안이다.
반면 천정배 의원 측과 정동영 의원 측은 결선투표가 도입되면서 오히려 유리한 상황이 됐다고 판단하는 모습이다. 대선과 제보조작 사건으로 안 전 대표의 정치적 위상이 하락한 상황에서 결선투표 도입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것은 자신감이 떨어졌기 때문 아니겠냐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이들은 1차 투표에서 안 전 대표의 50% 이상 득표를 저지한 뒤 결선에서 안 전 대표 반대세력을 규합한다면 승산이 있다는 판단이다.
이런 가운데 안 전 대표의 전대 출마를 둘러싼 여진이 계속되는 모습이다. 국민의당 소속 일부 의원들이 안 전 대표를 만나 출마 철회를 요청했다. 하지만 안 전 대표는 이날 노원구 상계동에서 시·구의원 및 당원들과 오찬 간담회를 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지금 그만두라는 말은 정계 은퇴하라는 말과 똑같다. 그건 우리 당을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전대 출마와 관련한 당내 비판과 의원들의 만류에도 출마 의지를 굽히지 않겠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 국민의당 원로들이 속해있는 동교동계가 8일 회동을 갖고 안 전 대표 출당 추진 방안 등을 놓고 논의할 예정이어서 당내 내홍이 심화될 우려를 낳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