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위, 연구결과 설명회 / 고용 등 간접 파급효과도
남원시 아영면이 흥부면으로 명칭을 변경하면 연간 546억3000만원의 관광수입 증가라는 직접적인 경제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영면 ‘흥부면 명칭변경 추진위원회’는 지난 17일 남원시청 강당에서 ‘남원시 아영면의 흥부면 개명의 경제적 가치분석’ 연구결과를 설명회를 가졌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9~10월에 전북대학교 빅데이터비즈니스연구소 박상준 교수팀에 의해 이뤄졌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박 교수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영면이 흥부면으로 명칭을 바꾸면 춘향골 남원시와 전북 경제에 어떤 효과가 얼마나 있을 것인가?’, ‘아영면의 주요 농산물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흥부골’ 브랜드가 아영면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등에 대해 설명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원시를 찾는 관광객 수는 2013년 이래 480만명 선에서 정체돼 한계를 보이고 있지만, 아영면의 흥부면 개칭과 흥부테마의 활성화를 통해 ‘남원시 관광객 600만명 시대’를 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 수의 증가는 남원시 전역에 연간 546억3000만원의 관광수입 증가라는 직접적인 경제효과와 540억8000만원의 생산유발효과(전북 676억원), 233억5000만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전북 291억9000만원), 792.8명의 취업유발효과(전북 991명), 404.8명의 고용유발효과(전북 506명) 등의 간접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됐다.
또 ‘흥부골’ 브랜드가 지리산 고랭지의 대표브랜드로 잘 관리·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도 아영면의 포도, 사과, 가지, 상추 등으로 30억5000만원 이상의 직접적인 판매액 증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남원시 관광자원으로서의 흥부전 테마는 춘향전 테마에 못지않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서 “판소리 흥부가의 무대가 된 아영면의 명칭을 흥부면으로 변경해 흥부전 테마의 관광자원으로써의 가치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흥부골 브랜드 활용 지리산 고랭지 농·특산물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민들 소득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