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전라도의 역사적 위상과 정신 계승을 위한 ‘전라도 천년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30분부터 전라감영 일원에서 열린다.
기념식은 전라도 명칭이 처음 사용된 1018년을 기념해 10월 18일에, 조선시대 전라도 지방통치 행정기구였던 전라감영에서 개최된다.
전라감영은 조선왕조 500년 동안 전북·전남·광주·제주의 정치·경제·문화·사회의 중심지였을뿐 아니라 동학농민혁명 당시 농민군의 총본부였던 대도소가 설치됐던 역사적인 장소다.
전라감영 부지 내 특설무대에서 진행되는 천년 기념식은 ‘천년의 자긍심, 새로운 천년을 향한 웅비!’를 주제로, 송하진 전북지사와 이용섭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가 기념사를 통해 전라도 천년의 의미와 앞으로 다가올 새천년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
또 ‘천년의 자긍심’이라는 주제영상 상영을 통해 미래 천년의 희망을 알릴 예정이며, 새천년에 바라는 전라도인의 소망의 메시지 타임캡슐 봉인과 새천년의 문을 여는 두드림 퍼포먼스가 이어진다. 기념식은 120여명이 출연하는 전북도립국악원의 특별공연으로 막을 내린다.
이에 앞서 17일에는 풍남문 앞에서 전야제가 열렸다. 전북·전남·광주 3개 시·도 부단체장과 전라도 어원의 근간이 된 전주·나주의 부단체장이 함께하는 타종식이 열렸다. 천 개의 빛 퍼포먼스와 소리삼대(조통달, 조관우, 조현) 공연, 3개 지역 대학생들의 사물놀이 등 공연도 펼쳐졌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