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민주평화·정의당, 28일 국회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촉구대회
선거제도 개혁을 위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하는 가운데 야 3당이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을 압박하고 나섰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28일 거대 양당을 향해 “기득권을 내려놓고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즉각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야 3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비롯한 소속 의원, 보좌진, 당직자 등 100여명은 이날 국회 로텐더홀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촉구대회’를 진행하고 정부와 민주당, 한국당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는 이 자리에서 “민심을 거스를 수 있는 정치는 없다. 지금 민심은 정치가 바뀔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민심은)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국민의 대표성과 비례성이 강화되는 정상적인 민주주의를 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모두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피할 수 없는 것임을 알고 있고, 그렇게 말을 했다. 그러나 지금 피하고 있다. 한국당은 의원정수를 핑계로 개혁을 피하고 있다”며 “민심을 따라야 한다”고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즉각 나설 것을 요구했다.
평화당 정동영 대표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비정규직 노동자, 힘없는 농민, 청년실업자 등 숫자는 많은데 정치적 힘이 없는 사회적·경제적 약자들에게 정치적 힘을 되찾아주는 ‘내 표 어디 갔소’, ‘죽은 내 표 살리기’ 운동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관철 운동”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나서야 한다. 노예해방제 반대자들을 설득해 위대한 일을 해낸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길을 가려면 선거제 개혁 설득에 나서야 한다. 문 대통령은 이해찬 대표부터 불러 ‘노무현의 제자’라면 그 비원을 이루라고 설득하고 앞장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2015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내놓은 권역별 연동형 비례대표제 안에 대해 민주당은 가장 합리적인 안이며 자신들의 당론이라고 확인한 바 있다. 그 입장을 다시 검토하겠다는 것은 다음 총선의 유불리에 대한 셈법이 가동됐다는 의심을 살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민주당이 뒷짐 지고 한국당의 논의를 지켜보겠다는 것은 거대양당의 왜곡된 정치제도를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집권정당이 대통령의 공약을 뒤집고 대통령의 처지를 궁색하게 만드는 길로 갈 것인가. 하루빨리 기존 당론에 입각한 방안을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결의문을 통해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국민과의 약속”이라며 “민주당과 한국당은 기득권을 내려놓고, 정치개혁에 동참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선거제 개편을 이번에 꼭 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문 대통령의 해외순방을 환송하기 위해) 공항에 나갔는데 대통령의 의지가 강했다”며 문 대통령이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