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로드맵 발표행사 참석…“수소경제, 산업구조 혁명적 변화”
“2022년까지 수소버스 2000대·수소 충전소도 310개까지 늘릴 것”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수소경제를 위한 우리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며 “우리로서는 국가 에너지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면서 신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울산시청에서 열린 정부의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행사에 참석, 연설을 통해 “수소경제는 에너지원을 석탄과 석유에서 수소로 바꾸는 산업구조의 혁명적 변화”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의 이번 울산 방문은 지난해 10월 말 군산, 11월 포항, 12월 창원에 이은 네 번째 전국 경제 투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군산 비응도동 수상태양광부지에서 열린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에 참석, 새만금이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중심지라고 선포했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새만금 유수지 38㎢에 민간자본 등 10조5700억 원을 투입해 태양광(2.8GW)과 풍력·연료전지(0.2GW) 발전 시설, 해상풍력(1.0GW) 단지를 건설하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벌써 많은 국가가 선두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으나 다행히 우리의 강점과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전통 주력 산업인 자동차·조선·석유화학과 연계해 수소경제를 선도해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은 “지난해까지 수소차 1824대를 생산해 그중 절반이 넘는 935대를 수출했는데 올해는 4000대까지 생산을 늘리고 2022년 8만1000대, 2030년 180만대를 거쳐 그 수가 수백만 대로 빠르게 늘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수소는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는, 마르지 않는 자원”이라면서 “현재는 화석 연료에서 추출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앞으로는 태양, 풍력, 바이오 등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생산하는 것이 일반화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정부는 공급 측면에서 수소경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도를 정비하면서 핵심기술과 원천 기술을 국산화하고 상용화하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또 “수요 측면에서는 정부가 시장 창출의 마중물이 되겠다”며 “수소 승용차와 버스에 지급되는 보조금을 택시와 트럭으로 확대하고 지자체와 협력해 수소버스의 보급을 2022년까지 2000대로 늘리겠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 규제 개선 및 지원 강화를 통해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310개 설치 △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 확대 △ 연료전지의 공공기관 도입을 통한 신산업·시장규모 확대 등을 약속했다.
이날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수소경제 로드맵’ 보고를 통해 수소경제로 미래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한 정부 계획을 발표했다. 또 전략보고회에서는 울산광역시와 현대자동차, SK가스, S-OIL, 두산, 효성중공업 등 14개 기관이 고용-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