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남북미 3국 정상회동
역사상 초유의 남북미 3국 정상회담이 30일 성사된 것을 두고 여야 5당은 ‘한반도 평화를 기대한다’며 한 뜻을 모았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이 비무장지대(DMZ)에서 만나 손을 맞잡은 순간에 여야 정쟁은 없었다.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이날 구두 논평에서 “북미 정상이 지난 66년 전 정전협정 이후 처음 판문점에서 만나게 되는데 분단과 대결의 상징에서 평화와 협력의 상징으로 바뀌는 전환점이 되지 않았나 싶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이번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가 되돌릴 수 없는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핵 문제를 두고 대여 투쟁에 몰두하던 자유한국당도 북미 정상 회동에 대해서는 발언 수위 조절에 신경쓰는 모습을 보였다. 전희경 대변인은 “한미 정상회담의 목표도 미북 간의 만남과 대화의 목표도 오로지 북한의 완전한 핵 폐기에 있어야 한다”며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DMZ 방문이 형식적인 것에 그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정의당은 북미 정상이 DMZ에서의 만남에 역사적 의미를 부여했다.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국무위원이 함께 북한 땅을 밟은 행위 자체를 두고 한반도 평화정착에 한 발 더 다가갔다고 평가했다.
바른미래당 최도자 수석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를 확인했다”며 “회담에서 실제적인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설사 그러한 방안이 없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DMZ에서 김 위원장을 만났다는 사실만으로도 역사적인 의미가 크며 비핵화에 다가섰다고 평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평화당 박주현 수석대변인도 “정전협정의 당사자라 할 수 있는 남북미가 한자리에 모여 북미관계 정상화의 큰 걸음을 내디딘다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획기적인 진전이 될 것이 틀림없다”고 환영했다.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은 “한반도 분단 역사의 상징인 DMZ에서 북미 정상이 만난다는 것 자체가 대단히 큰 의미를 갖고 있다”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척시키기 위해 큰 걸음을 내디딘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오늘 만남이 항구적 한반도의 평화를 향한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시작이 됐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