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최근 3년간(2016~2019.5월) 의약품 온라인 불법판매 적발 현황’
2016년 2만4928건, 2017년 2만4955건, 2018년 2만8657건 3년 연속 증가
야구교실을 운영하던 전직 프로야구 선수가 최근 유소년 야구선수들을 상대로 금지약물인 스테로이드를 불법 투약한 혐의로 구속된 가운데 온라인에서도 스테로이드 불법판매 적발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민주평화당 김광수 국회의원(전주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최근 3년간(2016~2019.5월) 의약품 온라인 불법판매 적발 현황’에 따르면, 적발건수는 2016년 2만4928건, 2017년 2만4955건, 2018년 2만8657건으로 3년 연속 증가했다. 올 1월~5월까지 적발건수도 1만7077건으로 지난해 전체 건수의 60% 수준이다.
특히 스테로이드 적발건수는 4373건에 달했다. 4년 전인 지난 2016년 272건과 비교해 16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적발된 의약품을 유형별로 보면 발기부전·조루치료제가 3만8504건으로 전체 40.3%를 차지했고‘각성·흥분제 9057건(9.5%), 스테로이드 5589건(5.8%), 여드름 등 피부약 5031건(5.3%) 순이었다.
김 의원은 “최근 유소년 야구교실 스테로이드 불법투약 사건과 관련해 의약품 온라인 불법판매 적발현황을 살펴봤는데 문제가 심각했다”며 “적발건수의 증가는 수사·단속 강화의 결과로 볼 수도 있지만, 결론적으로 온라인에서 불법판매가 성행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스테로이드를 비롯한 전문의약품들은 전문의의 처방이 없으면 부작용을 수반하는 만큼 온라인 판매·구매에 대한 위험을 직시해야 한다”며“식약처는 의약품 불법판매를 근절할 수 있는 대책 마련에 즉각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