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국회가 정상화되면서 전북 정치권도 내년 21대 총선을 향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민주평화당은 반(反)당권파 내에서 선도탈당이 논의되는 등 ‘제3지대 창당’을 위한 물밑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관련 바른미래당 김관영·정운천 국회의원과 무소속 이용호 의원의 행보가 제3지대를 향할지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역구 감소 등 선거제 개혁도 꾸준히 지역사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최근 들어 대두되는 전북 총선의 새로운 변수를 짚어본다.
△평화당 분당
평화당 내부에서는 제3지대 창당 시계침이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유성엽 원내대표를 비롯한 박지원·장병완·최경환 등 반당권파 의원들은 제3지대 창당을 논의하는 모임을 공식화하자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반당권파는 정동영 당대표를 비롯한 당권파 의원들을 상대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에 동참을 촉구하고 있다.
반면 정 대표를 비롯한 당권파는 평화당 중심의 자강을 한 뒤 바른미래당과의 당대당 통합이나 제3지대 빅텐트 구축에 들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당 지도부 교체와 연결되는 비대위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평화당은 오는 16일 저녁 의원워크숍을 열어 당의 진로를 두고 끝장토론을 펼칠 계획이다. 하지만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김관영·정운천·이용호 의원 행보
평화당 내부에서 제3지대 창당을 위한 물밑작업이 급물살을 타면서 바른미래당 김관영·정운천 의원과 무소속 이용호 의원의 행보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패스트트랙 정국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선거밀약설로 화제가 됐던 김 의원은 지난 5월 원내대표에서 물러난 뒤 지역구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하지만 그를 둘러싸고는 여전히 ‘민주당 영입설’과 ‘제3지대 합류설’이 여전히 나돌고 있다.
이 의원은 제3지대 창당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민주당 정개특위 선택…지역구 감소 우려
민주당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와 사법개혁특별위원회가 위원장직을 놓고 최종 결단을 늦추고 있다. 특위 선택과 맞물린 한국당과의 국회 정상화 협상이 매듭지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역구 축소가 예상되는 당내 의원들도 지도부에 반대의견을 조용히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구 축소는 국회의원직과 직결된 사안이기 때문이다.
선거제 개편이 이뤄지면 전북에서도 익산(갑을)과 남원·임실·순창, 김제·부안이 선거구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전주시, 군산시를 제외한 나머지 선거구는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정치권에서는 전주(3곳), 군산만 선거구를 유지하고, 익산 1곳 통폐합, 완주·김제, 무주·진안·장수·남원·순창, 정읍·고창·부안·임실군 등 통합 선거구로 개편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