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열린 전북교육청 국정감사에서 김승환 전북교육감이 전희경 의원(자유한국당)이 상산고 자율형사립고 재지정 평가 과정·후속조치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전희경 의원은 “상산고 재지정 취소가 불발됐다. 권한의 일탈로 생각 안하느냐”고 물었고, 김 교육감은 “전혀 그런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전 의원은 “김 교육감이 일반고 두 개 지표를 근거로 상산고 자사고 탈락점수 80점으로 정했고, 법적 의무가 없는 사회적배려대상자 비율을 의무적으로 평가했다”며 자의적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육감은 평가기준은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또 여러 단계의 정책 과정이 있기 때문에 교육감이 사과할 문제도 아니라고 했다.
이에 대해 전 의원이 “교육감 혼자가 아니라 장치가 있고 기준이 있다고 말했는데, 왜 교육감이 자사고가 사회악이라는 식의 단정을 하고 기준을 박하게 했느냐”며 “이 과정에서 학부모와 학생이 겪었을 혼란에 대해 교육감이 어떻게 생각하는 지를 묻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김 교육감은 “자사고로 일반고가 얼마나 황폐화되는지 교육감이 못 본 척해야 하느냐”고 말해 설전이 오갔다.전 의원이 “전북 교육의 황폐화가 상산고 1개 학교 때문이냐”고 다시 묻자, “상당 부분 책임이 있다”고 재답변했다.
김 교육감 자녀의 영국 케임브리지대 진학 문제도 거론됐다. 김 교육감은 “의아스러운 것이 상산고와 영국 케임브리지대를 왜 비교하나. 자녀가 공부 잘해서 입학한 것인데 그것이 죄냐, 도덕적으로 비난 받아야 하느냐”고 반발했다.
이에 전 의원은 “그 말씀을 드리고 싶다. 상산고 학생, 학부모들도 공부해서 상산고 들어간 게 죄냐고 교육감게 묻고 싶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영교·조승래·임재훈 의원은 공통적으로 학교 구분짓기 보다는 교육계 수장으로서 모든 학생을 아우르는 정책 수립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