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22:04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국회·정당
일반기사

[21대 총선 결과 의미와 전망] 전북, 국민의당 분열에 실망…‘미워도 다시 한 번’ 민주당

국민의당 수차례 분열에 실망감…민심 이반
"文 대통령 정권 안정에 기여해야" 민심 작용
선거과정 고소·고발 잇따라 후유증 증폭 우려

제21대 국회의원선거가 치러진 15일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에 모인 후보자와 지지자 등이 출구조사가 발표되자 환호하고 있다. 오세림 기자
제21대 국회의원선거가 치러진 15일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에 모인 후보자와 지지자 등이 출구조사가 발표되자 환호하고 있다. 오세림 기자

전북도민의 표심은 ‘미워도 다시 한 번’ 이었다. 지난 20대 총선 때 국민의당에 몰표를 줬던 표심은 다시 과거의 맹주였던 더불어민주당에게 대부분 돌아왔다. 4·15총선 투표결과 민주당이 9곳, 무소속이 1곳에서 당선됐다. 옛 국민의당 출신 현역의원은 이용호 의원 단 한 명만 살아남았다. 이번 총선에 도민들은 어떤 의미를 담았을까.

야권 심판론

올 총선에서는 지난 20대 총선 때 몰표를 줬던 국민의당(7석)에 대한 심판론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당 출신 호남의원들이 분당, 합당, 창당을 거듭하며 구태정치의 전형을 보여줘 지지층이 이탈했기 때문이다.

지난 2017년 대선에서 패배한 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으로 분화했고, 지난해 8월 민주평화당 의원 일부가 이탈해 대안신당을 창당했다. 그러다가 총선을 한 달 앞두고 바른미래당·대안신당·평화당 의원들이 다시 당을 합쳐 교섭단체인 민생당을 만들었다.

총선을 앞두고 표를 얻는 데 유리하게 하기 위해 지역구 투표 번호를 앞당기려는 ‘꼼수’라는 비판이 나왔다. 분화된 야당 의원들이 대안세력으로 가능성을 보여주기는 커녕 실망감만 안긴 셈이다.

특히 총선을 앞둔 국면에서 비례대표 순번배정을 두고 극심한 계파 갈등이 터지면서 악재가 이어졌다. 당내 갈등 양상은 전북 지역구 민심을 얻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국민의당에서 보인 분열양상이 다시 합친 민생당에서조차 재현되자 비판 정서가 더 강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잇따른 경제악재와 지역낙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등 잇딴 경제악재에 대한 현역 의원 책임론이 대두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지엠 군산공장과 군산조선소 하청업체는 폐업을 거듭했고, 이에 따라 제조업 생산지수가 낮아지고 수출이 감소했다. 고용지표는 하락했고 소비심리는 위축됐다. 인구유출 현상도 심화됐다.

지역 정가에서는 현역 의원을 향한 책임론이 대두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자유경제 체제에서 발생한 지역경제 악화가 현역의원의 전적인 책임론으로 볼 수는 없지만, 지역발전을 위한 책임자로서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경제 악화 상황에서 현역 의원이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는 지적도 높았다. 전북 10명 의원 가운데 야권이 8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기 때문에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인식도 작용했다.

이에 따라 힘있는 집권 여당에 표를 몰아줘 “전북 경제 악화 상황을 돌파하라”는 표심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재인 선거

지역 유권자 사이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야권 후보보다 선호도가 높아서 표심을 행사한 게 아니라는 여론이 높다.

전북 선거구 10곳 가운데 5곳의 민주당 후보들이 이미 유권자의 심판을 받은 전직 의원 출신이기 때문이다. 나머지 2곳은 당초부터 정치권에 몸을 담고 있던 인사이며, 2곳은 공직자 출신 신인, 1곳은 현역 의원이다.

역량과 상관없이 정치적 기득권을 가진 인사가 총선에 도전한다는 점에서 유권자 사이에 반감이 남아있다. 유권자들 사이에서 “민주당 후보들보다 문재인 때문에 찍는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결국 이번 총선에서 전북 민심은 ‘문재인 정부의 성공’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분위기로 읽힌다. 지난 2017년 대선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 당선시킨 문 대통령이 낙후된 전북을 발전시키고, 적폐청산과 개혁을 잘 마무리해달라는 바람이다. 코로나19의 위기상황을 잘 극복해가고 있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안정적 국정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성원도 담겨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총선은 2022년 대선을 향한 전초전의 성격도 갖고 있다. 전북이 대선에서 정치적 주도권을 잡기 위해 미리부터 전략적으로 표심이 결집했을 가능성도 높다.

 

향후 전망과 과제

선거전이 막판에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네거티브 선거 과열양상이 빚어졌다. 선거공보물 허위 사실 기재와 4년 전 총선에서의 후보 매수의혹 문제 등이 일부 선거구에서 막판 쟁점으로 부각되면서 뜨거운 공방전이 펼쳐졌다. 선거 후에도 각종 고발과 소송으로 후유증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0대 총선과 다른 민주당 중심의 정치지형이 형성되면서 당내 의원들의 주도권 경쟁도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관측된다. 운동권 출신이 대거 원내에 들어옴에 따라, 운동권과 비운동권과의 헤게모니 싸움도 예상된다. 차기 도당위원장을 자리를 두고도 경쟁이 불가피하다. 당선인들이 의정활동을 시작한 후, 중앙 정치권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로 자리매김할지도 관심사다.

정책공약을 다시 유권자에게 소개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정책선거를 주도해야 할 민주당 유력 후보들이 토론회를 거부하며 검증을 회피해 맹탕선거가 치러졌기 때문이다.

공약을 다듬어야 하는 과제도 남아있다. 전북일보가 한국메니페스토실천본부 전북네트워크에 의뢰해 후보자가 내놓은 1호 공약을 검증한 결과, 향후 구체적인 실현 방안이나 재원 마련 계획은 뒷전이었다. 일부 지역구 후보들은 공약이 완전히 판박이인 경우까지 등장했으며, 자치단체의 현안사업과 겹치는 경우는 부지기수였다.

/총선 특별취재단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