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원광대병원 전공의 모두 파업 동참
의료공백 불가피…의사단체와 협상 대상자 아니어서 한계
교수들 설득 중이나 사생결단 정치 논리로 번져
전북에서도 사상초유의 의료공백 사태가 이어지자 도내 환자들은 물론, 지방정부 등도 속수무책으로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전북대병원과 원광대병원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마저 전원 사직서를 내고 의사협회 최대집 대표가 이끄는 집단휴진에 동참하며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들이 속출하고 있으나 지방정부차원에서 뾰족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실제 의료대란이 사생결단식 정치 논리로 변질되며 전북도 등 자치단체는 의사단체와의 협상에 애를 먹고 있다.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 1일 전북대병원 소속 전공의 181명과 원광대병원 소속 전공의 118명 전원이 집단휴진에 들어가면서 도민들은 수련병원(修鍊病院·보건복지부 장관의 지정을 받아 전공의를 수련시키는 의료 기관)이 아닌 일반종합병원으로 발길을 돌렸다. 하지만 이들 병원에서는 중증질환 환자 수술과 같은 치료에는 한계를 보이는 상황이다. 다만 문서상으로만 집단휴진에 동참한 채 실제로는 의료 활동을 하고 있는 일부 의사들 덕분에 ‘의료공백이나 마비’ 상황까지 치닫지는 않고 있다는게 전북도의 설명.
그럼에도 진료거부에 동참한 의사는 대학병원 전체 인원의 90%가 넘는 실정이다.
설상가상으로 전북대 등 대학병원 교수진들은 제자들의 진료거부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 도민들의 의료공백에 대한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지자체 관계자들은 교수들을 통해 진료중단에 들어간 의료진의 복귀를 호소하고 있으나 의료계의 집단논리가 거세지며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자칫 의료계 다수와 다른 소신을 견지할 경우 전문의 취득 과정서 보복이나 집단따돌림 등 불이익이 있을까 우려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