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2020 전북 정가 결산] (상) 일당 독주 체제 재부활

선거구 보존했지만 야권 분열에 대한 심판론 작용
민주당, 정치권, 자치단체 장악해 텃밭 입지 공고
중진 부재 아쉬움… 여권 지도부에 한 명도 포진못해
상임위 간사 3명 배출정도로 위안 삼아야 하는 상황

올 한해 전북 정가의 최대 이슈는 4·15 21대 총선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선거 이슈가 많이 묻혔지만 변화는 컸다. 지난 20대 총선에서 몰표를 받았던 국민의당이 물러나고 과거의 맹주 더불어민주당이 돌아왔다. 국민의당의 분열로 파생된 다당제 지형은 사라졌다. 전북 정치의 터줏대감이었던 중진의원들은 대거 퇴장했고 그 자리는 초·재선이 메웠다. 그 결과는 어땠을까. 2020년 전북 정가를 뒤덮은 이슈를 조명해봤다.

 

△중진의원의 몰락… 초·재선 대두

야권 지도부의 중추였던 유성엽(정읍고창)·조배숙(익산을)·정동영(전주병) 의원은 거듭된 선거구 협상을 통해 10개 지역구를 지켜냈다.

그러나 이들을 중심으로 한 ‘인물론’ 프레임은 유권자들을 사로잡지 못했다. 오히려 지난 20대 총선에서 몰표를 준 국민의당이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새로운보수당으로 사분오열되는 모습에 실망하는 정서가 컸다. 야권 중진의원들은 4·15총선에서 맥없이 무너졌다. 김관영 의원도 중진대열의 벽을 넘지 못했다.

정치지형은 완전히 바뀌었다. 다당제는 사라졌고 일당독주 체제가 부활했다. 당선인들은 초선 4명, 재선 6명, 3선 이상의 중진 한 명 없이 모두 초·재선으로 교체됐다.

 

△일당독주 체제 부활… 지방선거 줄서기 우려

민주당은 텃밭에서 거대 여당의 입지가 공고해졌다. 총선 직후 지역구 의원 10명 가운데 9명(현재는 이상직 의원 탈당으로 8명)이 민주당 소속인 데다 도지사, 시장·군수 대부분(14명 중 10명)이 같은 당이기 때문이다. 광역의원은 90% 이상, 기초의원은 70% 이상이 민주당이다. 야권 등 견제세력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은 셈이다.

이 때문에 2년 뒤 치러질 차기 지방선거와 관련한 우려가 제기된다. 전북도의원을 비롯한 도내 시·군의원들이 공천권을 받기 위해 민주당 의원에게 줄서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도지사를 비롯한 시장·군수들도 재선 또는 3선을 하기 위해서는 소속 지역위원장인 국회의원들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지방선거 국면에서 후보자의 역량과 상관없이 국회의원 입맛에 맞는 사람을 공천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중진 부재 아쉬움… 여권 지도부 한 명도 포진 못해

선수(選手)의 한계는 여지없이 드러났다. 21대 국회에서 전북의원 10명 중 단 한 명도 당내 중추에 자리하지 못했다.

일단 17개 상임위원회 가운데 전북 의원들이 위원장을 맡은 상임위는 없다. 민주당내 3선 당선자가 25명이나 됐기 때문이다. 3선 중진이 즐비한 상황에서 전북 정치권은 보건복지위(김성주 의원)·행정안전위(한병도 의원)·환경노동위원회(안호영 의원) 간사자리를 맡는 데 만족해야 했다.

10년 만이라고 기대를 모았던 민주당 지도부 입성도 실패했다. 문재인 대통령 정무수석을 역임하고 ‘핵심친문’으로 통하는 한병도 의원(익산을)이 최고위원 도전장을 내밀었으나 권리당원 표심 때문에 낙선했다.

20대 국회와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당시에는 정동영(당대표)·조배숙(당대표, 원내대표)·유성엽(원내대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김관영(원내대표) 의원은 야권 지도부로서 선거법과 공수처법 처리 협상에 나서면서 정치적인 존재감을 높였다. 민주당에서는 이춘석 의원이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검찰개혁이나 코로나19를 비롯한 중앙 현안과 지역 현안에 대한 목소리가 약한 감이 있다”며 “초·재선으로서 정치적인 존재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론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2020 전북 정가 결산] (중) 거듭된 난제… 정치권 분열, 재판 [2020 전북 정가 결산] (하) 과제
김세희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7일 개최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