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전북수소생산클러스터 등 예타 대상 사업 선정
앞서 사업비 편차 · 국비 보조 비율 등 이유 반려, 자칫 올해 사업 불투명도
이번 선정으로 전북 향후 그린수소 생산 선두 지역 자리매김 가속화 기대
전북 수소생산클러스터 구축 사업이 최종 기재부 문턱을 넘어섰다.
24일 기획재정부는 ‘제5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열고, 수소경제 인프라 구축을 위한‘수소 생산-저장·운송-활용’ 등에 특화된 5개 지역의 수소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지역은 전북 새만금(그린수소생산)과 인천(바이오·부생수소 생산), 동해·삼척(수소 저장·운송), 울산(수소 모빌리티), 포항(수소 연료전지 발전) 등으로 지난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의 수소융복합단지 실증사업 공모에 선정된 곳이다.
앞서 이들 지역은 지난 4월 말 기재부 재정평가위원회에서 한차례 고배를 마신 적이 있었다.
이유는 지역마다 사업비가 다르기 때문으로 실제 당시 전북의 경우 사업 규모가 4600억 원 규모에 달했던 반면 일부 지역은 1000억 원 대에 불과했다.
또 국비 보조율 편차 등까지 커 기재부는 사업추진 우선순위, 지원 대상·한도 등에 대한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며 예타 선정을 반려 통보했다.
이후 공모 사업을 추진한 산자부는 사업 대상 5개 지역에 사업비 편성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보완 조치를 했다.
그 결과 전북도는 사업비를 4669억 원(국비 2042억 원, 지방비 565억 원, 민자 2062억 원)에서 3747억 원(국비 1288억 원, 지방비 509억 원, 민자 1950억 원)으로 낮춰 지난 6월 기재부에 예타 대상 선정을 재신청했다.
전북의 수소생산클러스터 사업이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새만금이 다시 한번 그린수소의 중심지로 입지를 굳힐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현재 도는 새만금 권역을 그린수소 거점지역으로 조성해 수소 생산(그린수소 생산클러스터), 저장·운송(탄소복합재 수소 저장 용기), 활용(수소 상용차, 연료전지, 새만금 그린산단 등)에 이르는 전북도만의 수소산업 전주기 생태계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그 중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는 7GW 규모의 새만금 재생에너지를 활용, 국내 최대 규모의 100MW급 수전해 설비 집적공간을 조성해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관련 수전해 기업 집적화단지 및 기업지원을 위한 통합지원센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도는 사업을 통해 고용유발 3만 20명과 생산유발 5조 7050억 원, 취업 유발 3만 4464명 등 경제적 파급효과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기재부는 이번에 선정된 대상사업들에 대해 조사수행기관(KDI·조세연) 선정, 전문 연구진 구성 등 사전 절차를 거쳐 예타 조사 작업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