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026년까지 5대 특화단지에 2000억원 집중 지원
전북, 국내 탄소섬유 4대 수요산업 맞춤형 실증기반 구축
전북 탄소소재 소부장 특화단지 육성이 본격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북도는 16일 전북 탄소소재 특화단지에서 '제1회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 협의회'를 열었다.
소부장 특화단지는 핵심 산업의 소재부터 부품, 완성품까지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집적화하는 클러스터다. 앵커기업, 중소·중견 소부장 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 산·학·연 협력 생태계를 조성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고 산업 경쟁력을 높이자는 취지로 기획됐다. 지난해 2월 탄소소재(전북 전주), 반도체(경기 용인), 이차전지(충북 청주), 디스플레이(충남 천안·아산), 정밀기계(경남 창원) 등 5개 분야의 특화단지가 지정됐다.
전북은 2024년 조성 목표인 탄소소재국가산단(65만㎡)을 비롯해 친환경첨단복합산단(57만㎡)이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됐다. 특화단지 앵커기업은 효성첨단소재, 대표기관은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이 맡았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올해부터 추진되는 R&D, 테스트베드 구축, 인력 양성 등 정부 지원 방안이 공유됐다.
이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탄소섬유, AI 기반 정밀기계 등 소부장의 신시장 창출·선점을 위한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 R&D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 예산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약 950억 원 규모다.
또 특화단지 테스트베드 로드맵(2022~2024년)을 바탕으로 향후 3년간 200여 종의 연구개발 장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지원 규모는 약 1000억 원이다. 특히 전북 탄소소재 소부장 특화단지 테스트베드에는 국산 탄소섬유의 4대 수요산업(수소저장용기, 연료전지, PAV, 풍력블레이드) 맞춤형 실증기반을 구축한다.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약 50억 원을 투입해 탄소복합재,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 신기술·공정을 현장에 신속하게 적용하기 위한 재직자 전문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이날 협의회에서는 공급망 위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공급망 정보화 시스템' 도입, 우수·유망 소부장 기술개발 성과물을 사업화하기 위한 '(가칭) 공급망 안정화 펀드' 조성 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산업부 이경호 소재부품장비협력관은 "소부장 특화단지는 밸류체인 완결형 클러스터로 우리나라 공급망 내재화의 중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정부는 협의회에서 나온 의견을 검토해 특화단지 신규 정책 수립, 신규 사업 기획 등에 반영하겠다. 향후 정례적인 협의회를 통해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북도 신원식 정무부지사는 "정부 소부장 특화단지 사업이 본격화돼 그동안 지역산업으로 육성해 오던 탄소소재산업이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와 같이 국가 5대 핵심소재 산업으로 육성된다는 데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의 일원으로 전북의 역할을 찾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