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0 23:46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보도자료

팔복예술공장 창작스튜디오 5기 입주작가 ‘첫걸음’

오는 4월 17일 팔복예술공장서 프리뷰전 개최
올해 활동해 나갈 5기 정기 입주작가 소개

image

전주문화재단(대표이사 백옥선)이 오는 4월 17일까지 팔복예술공장 A동 전시실에서 ‘2022 팔복예술공장 창작스튜디오 5기 입주작가’ 프리뷰전을 개최한다.

image
권다예_장생포고래로131_ex.n 326, Oil colours on canvas, 160×130cm, 2021

전시는 ‘로그인 Log-人’을 주제로, 올 한 해 동안 팔복예술공장에서 활동해 나갈 5기 정기 입주작가 7명을 소개하는 전시이자 시민과 처음으로 마주하는 시간이다.

image
김영봉_모부(母父), 농기구, 폐목재, 폐자재, 37×49×3cm, 2020

이번에 선발된 5기 레지던시 정기 입주작가는 권다예, 김영봉, 김희선, 문채원, 윤미류, 장영애, 정희정 등 7명이다. 이들은 회화부터 설치,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이다.

image
김희선_Ultraviolet, Oil on canvas, 146x112cm, 2022

5기 입주작가의 첫걸음을 알리는 프리뷰전은 다중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 ‘사용자’ 임을 알리는 로그인 과정에 접근해 기획했다. 7인의 작가는 팔복예술공장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작품명이라는 아이디를 제시했다. 관람객은 작가의 작품에서 고유한 비밀번호를 찾아가며, 작가 사유의 시간에 로그인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image
문채원_Untitled(Safe Exit), Embroidery on fabric, 27.5×22cm, 2020

 

권다예 작가는 실질적인 움직임이 아닌 물질적 성질을 이용해 유 혹은 무의 상태로 나아가는 회화 작품을 선보인다. 김영봉 작가는 공공 혹은 도시 조건에 따른 환경문제와 자원순환에 대한 고민을 작업으로 풀어냈다. 김희선 작가는 디지털 기술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나 사건에 주목한 그림을 전시한다. 문채원 작가는 구조 변경, 노후, 사용 미숙 등으로 인해 용도가 희석된 사물을 촬영한 사진을 모티브로 평면 및 입체작업에 나섰다.

image
윤미류_Leftover, Oil on canvas, 24×33cm, 2021

또 윤미류 작가는 다양한 장소와 상황에서 그림으로써 우연한 이미지가 마음에 남게 되는 방식을 작품에 담았다. 장영애 작가는 ‘삶의 목적은 superhappy를 위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작업했다. 정희정 작가는 서울이나 경기도의 주변부, 달동네 등 중심에서 비껴간 풍경을 담은 영상 작품을 만들었다.

image
장영애_A blue resonance, Powder and acrylic on fabric, 91×117cm, 2021

창작기획팀 김진 차장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이번 전시는 작가들이 보여줄 서사의 첫 시작점으로 작가들의 앞으로 작업 경향과 나아갈 방향이 기대되는 전시”라며 “전주문화재단은 예술인의 친근한 동반자로 예술 활동의 가치를 발현시키기 위해 창작 공간 제공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을 적극 지원하는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image
정희정_자연극장, 비디오, 가변크기, 2021

한편 팔복예술공장 창작스튜디오는 지난 2018년부터 매해 입주작가를 선정해 시각예술가 발굴 및 지원을 위한 레지던시 공간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시각예술인을 대상으로 모집한 올해 총 125명의 지원자 중 3번의 심사를 거쳐 총 7명의 작가를 선정했다. 이들은 이번 프리뷰전을 시작으로 오픈스튜디오, 입주보고전 등 다양한 활동을 선보일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주문화재단 #팔복예술공장 #입주작가 #프리뷰전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