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14일 ‘민선 7기 선출직 공직자들의 임기 중 부동산 변동 사항’을 발표했다.
조사대상은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장과 광역의원이며, 조사범위는 임기 중 토지거래 및 수도권 주택 보유 현황이다.
조사결과 공시된 15명의 자치단체장 가운데 서울에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단체장은 총 4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자신의 지역구에는 집을 사지 않고 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다.
참여자치에 따르면 송하진 도지사의 서울 서초구 잠원동 아파트는 재건축 사업을 앞두고 있어 공직자 재산신고에는 공시지가 17억 9300만 원이지만 실거래가는 26억 원(21년 8월 기준)에 거래되고 있었다.
정헌율 익산시장, 박성일 완주군수, 황숙주 순창군수 역시 서울 아파트도 공시지가 신고액과 시세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조사대상 공직자 53명 중 총 9명(25곳)이 토지 매입을 했는데 이중 15곳이 농지로 확인했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LH부동산 투기 사태 이후 선출직 공직자들의 부동산 소유는 자산 증식의 수단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며 “내부의 개발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만큼, 매입뿐 아니라 매도 과정도 적법한지, 또 그 과정에 불법성 여부는 없었는지 유권자의 눈높이에 맞는 후보인지 잘 따져봐야 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