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현發 쇄신론에 민주당 지도부 자중지란 '지선 위기감'
전북 의원들 대다수 이재명 지키기 돌입, 개딸과 맥 같이해
기존 586 용퇴론 재점화, 내부 반발 심해 지선 프레임 '흔들'
전북 도내 권리당원도 최근 강성화, 선거에 미칠 영향 촉각
6·1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대패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당 내부가 혼란에 빠졌다. 특히 이번 지선을 앞두고, 전북도내 민주당 열성지지층이 최근 당의 강성기조에 힘을 보태면서 선거에 미칠 영향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대선에서 0.7%p차로 석패했던 민주당은 검수완박 법안 단독처리 등 강성기조를 이어왔다. 그러나 이번 지선을 앞두고 수도권 등 주요 격전지의 민심에서 심상치 않은 분위기가 감지되자 당 내부에선 ‘쇄신론’이 흘러나왔다.
하지만 대선 패배 이후 민주당은 ‘개딸’로 대표되는 이재명 총괄선대위원장 지지자들과 검찰개혁, 언론개혁을 부르짖는 강성지지층이 당 헤게모니를 장악하면서 쇄신론은 일부의 의견으로 치부돼 왔다
전북정치권 역시 강성지지층을 대변하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전북 국회의원 너나 할 것 없이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적극 활용 자신들의 활동을 어필하고 있는 데 이들이 올리는 게시물 대다수가 강성 지지층이 주장하는 내용과 같은 맥락이다. 전북도내 권리당원 또한 다른 지역보다 강성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온건 성향의 당원과 정치인들도 적지 않지만 SNS나 문자 폭탄 등을 염려해 강성파의 주장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전북정치권 내부는 들끓고 있는 모양새다. 전북에서 민주당에 대한 지지는 절대적이지만, 이는 당에 대한 지지로 정치인 인물자체에 대한 지지가 아니다. 이러한 심리를 잘 아는 정치인들은 결국 어젠다를 제시하는 당내 핵심 지지층의 의견에 휘둘릴 수밖에 없다. 괜한 부스럼을 만들어 다음 공천에서 타깃이 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인 셈이다.
이러한 민주당 강성기조와는 별개로 도내 민주당 정치인은 개혁에 소극적인 기득권으로 인식된다는 점도 딜레마다.
쇄신과 반성을 주장하는 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의 행보는 이러한 내부 상황에 기름을 부었다.
박 위원장은 지난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반성어린 자세와 겸손을 약속했지만, 그를 제외한 당 지도부는 개별행동이라며 선을 그었다. 급기야 25일 비대위 회의에선 당 지도부 간 고성이 흘러나왔다.
박 위원장은 전날 대국민사과에 이어 이날 선대위 모두발언에서도 “현재의 열세를 만회하려면 읍소전략 밖에 없다. 서울, 경기, 인천 시도지사 후보와 선대위원장이 공동으로, 반성과 성찰, 당 개혁과 쇄신 방안을 담은 대국민 사과문을 채택하고 국민 앞에 발표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팬덤정치에 휘말리지 말 것을 경고했다. 그는 “팬덤이 무서워 아무 말도 못하는 정치는 죽은 정치”라며 “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586(50대·80년대 학번·60대년생) 정치인의 용퇴를 논의해야한다”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소속 전북 국회의원은 크게 두 그룹으로 이뤄져 있다. 하나는 586운동권 출신이고, 다른 한 축은 60대 이상 고위공직자 출신 국회의원들이다. 이들의 경우 박 위원장의 발언이 달갑게 느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다음 총선이 있을 2년 후 대부분 ‘환갑’이상의 나이에 가까워지는 전북정치권은 송하진 전북지사의 공천배제에 활용했던 논리가 자신들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 전북 국회의원들은 1961년생부터 1969년까지로 연령대가 비슷하다. 전북정치의 핵심인 재선그룹은 1964~67년생이다. 사실상 박 위원장이 저격한 세대나 다름없다.
586세대가 민주당의 주축인 만큼 박 위원장의 일성은 단독행위로 치부되고 있다. 당내에선 “무슨 말을 해도 좋은데 지도부와 상의하고 공개 발언을 하라”고 충고했고, 이에 박 위원장은 “어느 당대표가 합의를 거쳐 회견문 쓰나"고 응수했다.
이를 두고 민주당 내부에선 자중지란이 벌어졌다. 민주당은 지선을 의식해 최대한 싸움을 피하려고 발언 수위를 낮추고 있지만, ‘선출된 권력’이 아닌 박 위원장이 당의 기조를 정하려는 데 불쾌감을 숨기지 않고 있다. 같은 청년층이라 할지라도 박 위원장은 추대형식으로 위원장이 된 만큼 전당대회서 선출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는 입장이 다르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비슷한 말이라도 이낙연, 정세균 같은 분들이 했다면 그 무게감이 달랐을 것”이라며 “(박 위원장은)계파도 없고, 선거도 치른 바 없고, 586세대 처럼 민주화에 투신한 적도 없고, 당의 위기에 함께한 바 없기 때문에 그 말에 힘이 실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