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전북지부, 야간과 주말 공식 일정 잡고 근무 강요 문화 개선 촉구
교육감 취임 초기때다보니 조직 정비 및 체제 개선 측면 시간 요구돼
일에 대한 열정 뛰어나지만 자칫 직원들 지치는 행복권 침해 우려도
기초·기본학력 증진을 강조하며 취임 4개월을 맞은 서거석 호(號)의 지나친 열정에 직원들의 ‘워라밸’ 이 깨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래교육을 위한 정책 집중에 직원들의 평일 야근과 주말 출근이 잦아지고 있어 일과 삶의 균형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23일 “전북교육청이 학교 교육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것은 환영해야 할 일”이라며 “하지만 워라밸이 상식이 된 시대에 오히려 강제 야근이 잦은 조직 문화가 자리잡고 있어 큰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북교육청 직원들을 만나면 요즘 너무 죽겠다, 힘들다는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며 "결재자가 항상 결재를 밤늦게 해준다고 하고 그때까지 퇴근도 못하고 기다린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교조에 따르면 지난 20일 밤 8시~11시 ‘2023년 본예산 교육감님 설명회’라는 이름으로 학교교육과·교원인사과·교육혁신과의 팀장급까지 다 모였다. 21일 역시 밤 8시 반부터 11시 30분까지, 주말인 23일에도 오후 3시부터 6시까지 다른 부서의 직원들을 소집했다. 매일 수십여 명의 직원이 평일 밤이나 주말에 출근한다는 게 전교조의 설명이다.
전교조 관계자는 “노동인권을 지켜야 하는 것은 개인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하게는 조직의 민주적 발전을 통해 진짜로 ‘학생중심 미래교육’을 찾아나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직원들도 일방적·비민주적 전보조치와 부당한 업무지시에 맞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