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3년간 정책 유예 건의⋯농식품부 조만간 발표
도, 참동진 시험재배 컨설팅, 브랜드 마케팅 추진 계획
정부가 신동진 벼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 보급종 공급 중단에 대한 정책 유예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대체 품종 시험 재배 등 현장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선 최소 3년 이상의 정책 유예 기간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전북도 김종훈 경제부지사는 7일 간담회에서 "농림축산식품부에 신동진 벼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 보급종 공급 중단에 대해 최소 3년 이상 정책 유예를 해달라고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다"며 "이에 대해 농식품부에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부지사는 "정부는 고품질 쌀 생산, 적정 쌀 생산을 이유로 다수확 품종인 신동진의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을 추진하고 있다"며 "정부 정책 방향에는 동의하지만, 신동진은 지역적 특수성이 있다. 신동진은 전북 전체 벼 재배 면적의 53%를 차지하고 관련 브랜드만 88개 달한다"며 급격한 정책 전환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했다.
이어 김 부지사는 "전북은 2021년 이삭도열병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특정 품종(신동진)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완화하기 위해서라도 품종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정책 유예가 필요한 이유는 농가가 참동진 등 대체 품종을 선택해 재배할 수 있도록 시험 재배 기간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과거 운광, 새누리와 같은 다수확 품종의 경우 현장의 수용성 등을 감안해 정책 유예를 한 적이 있다.
김 부지사는 "유예 기간 농가에 참동진 등 대체 품종에 대한 시험 재배 컨설팅, 브랜드 마케팅을 통해 신동진이 쌓아온 성과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8일 '2023년 쌀 적정 생산 대책 추진 계획'을 발표할 예정으로, 이 발표에 신동진 정책 유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