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보도자료

31일 슈퍼블루문 뜬다⋯"놓치면 14년 기다려야"

다음 2037년 1월 31일 관측 가능

image

오는 31일, 5년 만에 '슈퍼블루문'이 뜬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14년 후에나 볼 수 있다. '슈퍼문'은 지구와 가장 가까워졌을 때의 보름달, '블루문'은 한 달 새 한 번 더 뜨는 보름달.

국립과천과학관은 31일 천문대 및 천체투영관에서 '슈퍼블루문 특별관측회'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달은 지구 주위를 타원 운동하기 때문에 지구와 달 사이 거리가 바뀌는데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지점인 근지점일 때 뜨는 보름달을 슈퍼문이라고 한다. 슈퍼문이라는 용어는 1979년 미국의 점성술사 리차드 놀이 근지점 부근의 90% 범위에 있을 때의 보름달이라고 처음 언급했다. 슈퍼문은 달이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보다 14% 더 크고, 30% 더 밝게 관측된다.

또한 달은 29.5일을 주기로 위상이 변하는데 1년에 11일 정도의 차이가 생긴다. 이 때문에 2년 8개월마다 보름달이 한 달에 한 번 더 뜨게 된다. 이 경우 한 천문학적 계절에 4번의 보름달이 뜰 수 있다. 이때 세 번째 뜨는 보름달을 '블루문'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1946년 미국의 유명 천문잡지인 'Sky & Telescope'에서 블루문은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이라고 소개된 이후 이 정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루문은 '배신자의 달'로 불리기도 하는데, 서양에서는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이나 뜨는 현상을 불길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이다. 가장 최근에는 2018년 1월 31일 관측됐으며, 다음은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에 볼 수 있다.

국립과천과학관 한형주 관장은 "이번 슈퍼블루문을 놓치면 14년을 기다려야 하는 드문 천문 현상"이라며 "8월의 마지막 밤에 가족들과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즐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용수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사설] 전북도, 고병원성 AI 방역 철저히 하길

오피니언[오목대] 학원안정법과 국정안정법

오피니언[의정단상] 새만금에 뜨는 두 번째 태양

오피니언[타향에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조세정책과 우리 기업의 대응

오피니언[기고] 학교폭력 응답률 1위 오명 씻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