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건축허가 면적이 크게 줄면서 3년 내 신규 아파트 공급부족에 따른 가격 폭등이 우려되고 있다.
신규 아파트 건설을 가로막는 여러 악재가 겹쳤기 때문인데 가파른 아파트 가격 상승을 막기 위한 규제 완화와 신속한 행정절차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전북도가 집계한 건축허가·착공 통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건축허가는 22만 1394㎥로 지난해 74만 4803㎥에 비해 70.3%나 감소했고 건축착공도 18만 2973㎥로 지난해 33만 5583㎥에 비해 45.5%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36만 9744㎥였던 공동주택 허가면적은 올해는 단 한 건도 없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공면적도 지난해 9만 9077㎥에서 올해는 2만 1148㎥로 79%나 감소했다.
단독주택이나 다가구, 다세대 주택 등을 포함한 주거용 건축물의 착공면적도 지난해 12만 6291㎥에서 올해는 3만 8801㎥로 69.3%가 줄었다.
공동주택의 경우 전달에도 착공은 작년보다 46.5% 감소했고 허가는 무려 96.2%나 수직 하락했다.
이는 금융위기에 따른 금리인상과 주택공급에 필요한 자금인 브릿지, PF 대출이 크게 강화된데다 시멘트를 비롯한 철근같은 건설자재 값이 30% 이상 인상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건설현장 127개 직종의 인건비도 20%이상 오르면서 지난해만 해도 3.3㎥당 500만원 수준이었던 아파트 시공비가 700만원까지 치솟은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 때문에 아파트 건설사들이 사업을 추진하는데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고 외지대형 업체들에게 도내 아파트 건설시장을 잠식당하고 근근이 연명하고 있는 전북지역 향토업체들이 가장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전북지역 시행사들도 700만원이 넘는 시공비를 주고 사업을 추진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규 사업추진을 아예 포기하는 경우도 속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된다면 향후 3년 이내에 신규 아파트 가격이 극단적으로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오는 2026년까지 전북지역 신규 아파트 수요는 9000여 세대로 예측되고 있지만 공급은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보이면서 아파트 가격 폭등을 막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북지역 부동산 개발 전문업체인 ㈜나무D&S 박명한 대표는 "사후약방문식 뒷북만 치는 정부이기에 기대기 보다는 국민들 스스로 현실적인 자구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건설, 부동산, 금융과 관련된 규제 완화가 필요하고 행정에서의 신속한 인허가 절차가 지원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