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식탁물가 도미노 인상 현실화?...눈치 없는 먹거리물가 상승

식료품 등 대부분 1년 전과 비교해 큰 폭 상승
고물가 기조 장기화 전망에 소비자 '걱정'

image
식탁 사진/사진=클립아트코리아

고물가 기조를 우려해 가격 인상을 보류하던 식품·유통업계가 추석 연휴 이후 가격 줄인상을 예고하면서 외식물가뿐만 아니라 식탁물가까지 들썩이고 있다. 우유값 인상 이후 설탕·맥주 할 것 없이 인상 소식을 알리며 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16일 호남지방통계청 전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비주류 음료 소비자물가지수는 121.96이다. 빵·곡물, 육류, 어류·수산, 우유·치즈·계란, 식용유지, 과일, 과자·빙과류·당류, 기타 식료품 할 것 없이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주·전북지회가 매주 조사하는 전주지역 대형할인매장 등의 가격 조사를 보면 최근 A업체의 설탕(3kg 기준) 평균 가격은 6238원, 1년 전에는 5291원이었다. 무려 1000원 가까이 올랐다.

지난달 설탕과 소금 물가 상승률이 1년 만에 동시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간장, 밀가루 등도 1년 전과 비교해 가격이 1000원 안팎으로 치솟았다. 올해 이상기후 피해가 심각해지면서 배추, 무, 양파, 대파, 당근 등의 가격도 크게 상승했다.

문제는 국제 유가다. 이미 물가가 상승했지만 국제 유가가 오르면 물가 상승 압력이 작용하면서 더 치솟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정 정파 하마스의 분쟁이 계속되면서 국제 유가도 상승세를 보여 고물가·금리 기조가 조금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가정주부 정모(60) 씨는 "이미 오른 물가에 막막하기만 하다. 벌어들이는 돈은 정해져 있는데 계속해서 물가가 오르니 장보기가 겁날 정도다. 앞으로 또 오른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걱정부터 된다"고 토로했다.

박현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