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13:22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4·10총선
자체기사

총선 D-99 ‘전북 민주당 텃밭 입지 약화’ 신당 효과는?

전북일보 여론조사 결과 ‘전북 도민 100명 중 38명 지지 정당후보 못정해’
이낙연, 이준석 신당 여부따라 정당 지지 호감도 달라질 듯
현역 의원들 역시 안심할 수 없는 상황. 기대감 낮은 것으로 분석

image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D-98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민주당 텃밭’으로 인식됐던 전북 내 민주당 입지가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직까지 선호하는 정당후보를 정하지 못한 도민이 100명 중 38명에 달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향후 등장할 신당의 파급력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전북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간 전북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북 도민들의 민주당에 대한 지지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4월에 있을 국회의원 선거에서 선생님께서 사시는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에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하시겠습니까’란 질문에 응답자의 48%가 민주당 후보를 선택했다. 다음으로 국민의힘 5%, 진보당 2%, 정의당 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38%에 달했다.

이는 지지하는 정당과 후보가 확실하게 정해지지 않아 향후 정치 상황 변화에 따라 뜻을 바꿀 수 있는 부동층이 상당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민 10명중 4명 가까이가 선거 당일 흐름에 따라 특정 정당이나 무소속, 그리고 신당에 투표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지난 21대 전북 총선 결과를 보면 민주당 후보였던 김윤덕 73.57%, 이상직 62.54%, 김성주 66.65%, 신영대 59.24%, 김수흥 79.63%, 한병도 72.59%, 윤준병 69.77%, 이원택 66.67%, 안호영 의원이 56.89%의 득표율을 얻었었다.

지난 21대 총선 민주당 후보들의 득표율과 비교했을때 이번 전북일보 여론조사 결과에서 민주당 후보 지지율이 확연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전북 도민들은 지지 후보를 정할 때 정당이나 인물을 중요시 여기기보다는 후보자의 공약이나 정책을 우선한다는 결과도 도출됐다.

‘국회의원 후보를 선택하는 기준으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보십니까’란 질문에 ‘내가 지지하는 정당의 후보’ 응답은 7%에 그쳤고,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공약 중심’은 무려 61%를 차지했다. ‘경력과 전문성 등 인물 중심’은 21%, ‘세대 교체할 신진인물’은 9%로 나타났다.

그간 선거에서 행해져왔던 ‘묻지마 정당 투표’가 아닌 전북 발전을 이끌어 낼 정책을 펼칠 인물을 더욱 선호한다는 것이다.

image

현역 국회의원들 역시 오는 총선에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역구 국회의원 교체 필요성’을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61%가 ‘바꿀 필요가 있다’고 했고, 29%는 ‘바꿀 필요가 없다’, ‘모름/무응답’이 10%를 차지했다. 잼버리 파행, 새만금 예산 대폭 삭감, 지역 현안 줄줄이 고배 등의 시련을 겪으면서 현역 의원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졌다는 분석이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 간 실시했다. 여론조사 표본은 2023년 11월 기준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라 지역별, 성별, 연령별 인구 구성비에 맞게 무작위로 추출했다. 표집틀은 통신 3사에서 제공된 휴대전화 가상(안심) 번호를 활용했다. 조사는 면접원에 의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 오차는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다. 응답률은 17.1%로 총 5855명과 통화해 그 중 1000명이 응답을 완료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여론조사 #민주당 입지 약해져
이강모 kangmo@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