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학부모·교원 등 교육주체 설문, '데이터로 보는 전북교육'발표
경쟁력 높이기 위한 제도로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최우선 꼽아
전북지역 교육주체들이 ‘소통’을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가치로 선택했다.
전북교육청 미래교육정책연구소는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주제로 교육주체의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로 보는 전북교육'으로 16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해 11월 13일부터 23일까지 유레카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해 이뤄졌으며, 학생 451명·학부모 1833명·교원 1153명 등 총 3437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앞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서 학생(11.7%)과 학부모(14.5%), 교직원(12.7%) 모두가 가장 강조해야 할 키워드 1위로 '소통'을 꼽았다.
또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가장 중점을 둬야 할 교육 분야로 학생(27.1%)과 학부모(30.9%)는 '디지털융합 관련 교육'을, 교직원은 '생태 전환 관련 교육(27.5%)'을 1순위로 선택했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융합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정책으로 학부모와 교직원은 '디지털 윤리 문화, 디지털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이라는 응답이 각각 31.2%와 30.9%로 1위를 차지했다. 학생은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지원 시스템 구축(33.1%)'을 1순위로 꼽았다.
생태 전환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부모와 교직원은 '사람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탄소중립, 자원 재활용 등 생태 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각각 33.0%와 36.6%로 가장 높았다. 학생은 '친환경·농업·의료·교육 등에 집중하는 생명 경제 관련 분야 인재 양성'에 27.6%가 응답했다.
특히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제도를 묻는 질문에는 학생·학부모·교직원 모두가 '도내 직업계고 졸업(예정)자를 관련 분야에 채용하는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을 1순위로, '기초학력 보장에 기반한 학생 맞춤형 진로·진학 교육 내실화'를 2순위로 선택했다.
아울러 지역 특색을 반영한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32.4%)과 학부모(31.6%)는 '안정적인 교육자치를 위한 재정 확보'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교직원(32.1%)은 '지역 특색을 살린 교육과정의 운영 자율 확대'라고 응답했다.
이와 함께 글로벌(국제)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정책으로는 학부모(38.0%)와 교직원(38.4%)은 '외국어교육과 세계 시민교육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을 1순위로, 학생(30.2%)은 '세계시민 육성을 위한 다양한 국제교류 프로그램 확대'가 1순위로 나타났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만의 차별성 있고, 다양한 교육특례 발굴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