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7:2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4·10총선
자체기사

역대 최고 전북 사전 투표율 의미는?

전북 대놓고 홀대, 도민 자존심 상처 
높은 투표율로 심판과 명분 두 마리 토끼
압도적인 득표 받은 정당에는 부담으로 작용
‘새만금, 제3금융중심지, 국제공항, 국가예산 퇴보문제 해결’ 기대심리 작용

image
전북특별자치도청 대회의실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전북도민들이 참정권을 행사하고 있다/사진=오세림 기자

역대 최고의 전북지역 사전투표율 결과는 그동안 소외되고 차별받아 왔던 도민들의 분노와 설움이 한꺼번에 폭발한 것이란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전북도민들의 표심이 누구를 심판할지는 오는 10일 모든 투표함을 열어봐야 알겠지만, 전국 평균을 훨씬 상회하는 전북의 투표율은 여야 정치권 모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실제 전북을 비롯한 호남지역의 민심은 수도권 민심과 직결되면서 이번 총선 정국에 주요 변수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북특별자치도의 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율은 38.4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4년 전 21대 총선 사전투표율 34.75%보다 3.71%p 상승한 수치다. 전북의 사전투표율은 우리나라 전체 사전투표율 31.28%보다도 무려 7.18%p나 높았다.

전북의 사전투표율이 상승한 요인을 두고도 해석이 분분하다. 다만 중론은 ‘전북 홀대론’의 심화가 이번 투표율에 가장 큰 영향을 줬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전북 미완의 과제인 새만금 국제공항과 제3금융중심지 지정, 국가예산 삭감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해야 한다는 기대심리도 함께 작용했다는 평가다.

전북도민의 발걸음을 투표장으로 옮긴 것은 잼버리 사태의 영향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행사 파행의 책임을 정치권이 지방에 돌리면서 정부가 보복성 예산 삭감을 단행했던 치욕을 잊지 않았다는 뜻이다. 

올해 최종 국가 예산에서 전북도가 우리나라 전체 9개 광역도 중 유일하게 마이너스 증감률을 보인 것도 의미심장한 부분으로 꼽힌다. 

전국 9도 중 유일한 국가 예산 마이너스 사태는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파행에 따른 정부의 보복성 '새만금 예산 삭감'과 ‘민주당 일당독주’가 부정적 시너지를 발휘해 만들어낸 결과로 어느 쪽을 심판할지는 전북도민의 몫이다. 

6년째 표류하다 이제는 좌초가 확실해진 남원 공공의대법과 기재부가 반대한다는 이유로 국회가 통과시켜주지 않은 대광법(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해법도 못 찾았다. 

투표율의 가파른 상승은 이처럼 수많은 현안에 무기력했던 전북정치권을 압도적인 득표율을 통해 일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도 담겨있다.

특히 “호남 내에서 더 이상 '전북 홀대론'이 나오지 않도록 전북의 경제발전을 앞당기겠다” “전북의 변화, 확실히 책임지겠다” “지지율이 높게 나오건, 낮게 나오건 호남을 챙기겠다”는 약속이 모두 공수표로 돌아간 점도 사전투표율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전북 홀대론'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고 한 약속의 진정성 검증이 압도적인 사전투표율로 발현된 셈이다. 다만 전북도민의 최종 선택은 마지막 투표날까지 지켜볼 일이다. 전북 등 호남지역의 투표율 상승은 전통적으로 민주당계 정당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향을 보이나 일부 선거구에서의 반전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전북특별자치도청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만난 전주시민 A씨는 “어떤 후보, 어느 정당이던 제 입장에선 최선을 찾을 수 없어, 그나마 우리 지역에 적어도 해를 덜 끼칠 ‘차악’을 택했다”고 말했다.

같은 장소에서 만난 다른 유권자 B씨(익산거주)는 “전북의 힘이 약한 것은 우리나라 정치에 전북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서”라며 “투표장에 되도록 많은 도민들이 나와 전체 (선거)판세에 더 큰 영향을 많이 미칠수록 그 누구도 전북을 무시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전투표율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