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산업 고도화와 첨단산업 육성으로 특례시대 대비
천연물·미생물 등 지역 자원 활용 바이오 융복합 전략
대규모 수소경제 국책사업 유치로 선도지역 입지 다져
전북자치도가 미래첨단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대전환에 시동을 걸었다. 기존 1차 산업 중심에서 첨단산업으로 탈바꿈하고, 새만금을 미래신산업의 전진기지로 삼아 전북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구상이다.
먼저 이차전지 산업은 지역 경제를 견인하는 주력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연말까지 실시간 고도분석센터와 사용후 이차전지센터 등을 구축해 기업 기술력 향상을 뒷받침한다. 이차전지 재활용 관련 R&D 과제 지원으로 ESG 경영 기반도 다진다.
장기적으로는 새만금을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육성기지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소재기업 유치와 기반시설 조성에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바이오 분야는 지역의 풍부한 생물자원을 활용해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한다. 전주·익산·정읍을 잇는 바이오산업 삼각벨트를 구축해 지역 생물자원과 첨단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차별화된 혁신성장을 도모한다.
탄소소재, 천연물, 미생물 등 지역특화자원과 메카노바이오, 오가노이드 등 첨단기술을 접목해 차별화된 바이오 혁신기술을 이끈다.
수소경제는 전북이 새롭게 선점하고자 하는 영역이다. 국토부의 전국 10% 수소도시화 계획에 발맞춰 도내 수소도시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완주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 조성, 수소특화단지 지정, 새만금 재생에너지 연계 청정수소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대규모 국책사업을 통해 수소경제 선도지역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무인이동체 분야는 새만금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육성된다.
연내 무인이동체 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조례를 제정한다. 중장기적으로 '새만금 무인이동체 종합실증단지' 구축을 통해 무인이동체 상용화의 전진기지로 발전시킨다는 복안이다.
자동차 산업 등 기존 주력산업의 혁신도 게을리하지 않는다.
자동차 품질인증부품 지원센터를 통해 대체부품 기업을 육성한다. 한국자동차부품협회 전북지회와 협력해 해외 수출길도 넓힌다.
'전북특별자치도 대체부품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으로 산업육성의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자체 대체부품 인증기관 지정을 위한 조례도 제정할 계획이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미래첨단산업 육성전략은 새로운 경제지도를 그리는 원대한 도전이자, 지역의 미래를 바꿀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기업과 인재가 모여드는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성장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끝>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