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구꽃이 활짝 핀 살구나무에서
새가 사납게 짖어댄다
도둑이라도 드는 걸까
이 집주인의 전(前)남편이라도 다녀간 걸까
꽃이 웃고 딸꾹질 한 번 하고,
꽃이 웃고 딸꾹질 한 번 하고
생각건대 이 동네 터줏대감인 직박구리는
아마도 사흘은
계속 짖어댈 것이다
살구꽃 속에
살구가 다녀가는 걸
새는 알아차린 것이다.
△ 읽을수록 가슴에서 훈훈한 이야기꽃이 핀다. 재밌어서 시가 자꾸만 나를 살구나무로 끌고 간다. 한 편의 시로 하루를 꽃 그림 속으로 여행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금방 직박구리가 짖어대더니 살구나무 꽃잎이 흩날리며 봄날은 간다라고 노래 부른다. “딸꾹질”하던 꽃잎이 빙그르르 춤을 추다가 봄 마당 꽃그늘에 돗자리를 편다. 살구꽃과 새와의 밀월관계가 참 달콤하다. 터줏대감이 아닌 내가 살구나무 그늘에서 봄을 시로 엮는다면 살구는 노랗게 익어갈 것이다./ 이소애 시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