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6:39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보도자료

'전북다움'담은 전통예술 공연축제 즐겨보세요

국악 전문 소공연장 서학예술극장 기획 공연 시리즈 
'국악, 전통에서 일상이 되다' 주제 8~12월까지 전통예술 축제 펼쳐
예매 관람 무료, 관람 후 자유롭게 후원금 지불하는 '감동후불제' 진행

전북특별자치도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이경윤, 이하 재단)이 운영하는 ‘2024 소공연장 지원사업’의 성과로 전북 고유의 문화예술자원을 활용한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서학예술극장(대표 이여송)이 준비한 전통예술 기획공연 시리즈 '국악, 전통에서 일상이 되다'가 그 주인공이다. 

서학예술극장은 2021년 개관 이래로 전통예술 전문 소극장으로서 다양한 시도를 거듭하며 친숙하고 재미있는 국악 공연 콘텐츠 개발에 힘쓰고 있다. 

image
청연 '힙한 광대들' 포스터/사진=전북문화관광재단 제공 

서학예술극장이 야심차게 준비한 기획공연 시리즈 ‘국악, 전통에서 일상이 되다’는 도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국악그룹이 참여하는 전통예술 공연 축제다. 

오는 8월 24일에는 힙(HIP)한 청년예술인 그룹 ‘청연’이 ‘힙(HIP)한 광대들’로 찾아온다. 태평소와 사물놀이, 소고놀이와 사자춤 등 전통적인 흥을 대표하는 요소가 풍성하게 구성되어 있다.

image
구각노리 국악쇼 '잘살아보세' 포스터/사진=전북문화관광재단 제공 

9월13일 공연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국악그룹 ‘구각노리’가 준비한 국악쇼 ‘잘살아보세’이다. 국악 장단에 락, 팝, 재즈, 일렉트로닉을 녹여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인다.

9월27일에는 국악과 재즈를 잇는 그룹 ‘아트쿠도’가 ‘국악을 품은 재즈의 소리너머’를 선보인다. 사철가 등 총 9곡의 전통음악을 재즈로 풀어낸다.

image
아트쿠도 '국악을 품은 재주의 소리 너머' 포스터/사진=전북문화관광재단 제공 

10월 25일~26일 기간에는 전통민속악 전문 그룹 ‘악(樂)바리’의 ‘전통의 신흥’이 무대에 오른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우리 음악의 즐거움과 흥겨움을 느낄 수 있는 공연이다.

image
발광엔터테인먼트 '인왕산 호랑이' 포스터/사진=전북문화관광재단 제공 

11월 8일에는 택견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전통문화공연예술그룹 ‘발광엔터테인먼트’가 직접 창작한 무예극 '인왕산 호랑이'가 진행된다. 한 순간도 눈을 뗄 수 없는 전통 액션연희의 향연이 기대된다.

11월 30일은 태평소앙상블 그룹 ‘취선악’이 '태평소앙상블'로 무대를 꾸민다. 태평소 음악의 대중성과 확장성을 고민해온 태평소 연주자 겸 작곡자 이시준 선생이 이끄는 취선악이 태평소와 함께 대북, 모듬북, 드럼, 장구, 꽹과리를 사용하여 웅장한 음악을 선보인다.

image
사맛디 '국악월드뮤직 사맛디 콘서트' 포스터/사진=전북문화관광재단 제공 

12월 20일은 타악프로젝트 그룹 ‘사맛디’가 준비한 ‘국악월드뮤직 사맛디 콘서트’가 무대에 오른다. 국악 타악과 함께 세계의 다양한 악기와 장르를 화려하게 넘나드는 공연으로, 서학예술극장 기획공연 시리즈 ‘국악, 전통에서 일상이 되다’의 피날레를 장식한다.

한편 모든 공연은 도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해 무료예매 또는 감동 후불제 형태로 진행된다.  

감동후불제는 예매와 관람은 무료이지만 공연 관람 후 자유롭게 후원금을 지불하는 것을 말한다. 공연을 통해 발생한 수익금은 차세대 지역 국악인 양성을 위해 기부된다. 

자세한 공연정보 확인 및 사전 예매는 나루컬쳐 누리집(www.naruculture.com)을 통해 가능하며 문의는 서학예술극장(063-231-8881)으로 하면 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소공연지원사업 #전북문화관광재단 #서학예술극장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