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이성윤 최고위원 컷오프 충격 “지리멸렬 전북정치 재현”

초선으로 깜짝등장하면서 전북 내부 결집 못이뤄
전북만 뭉쳤어도 컷오프는 안되는 당원 규모와 수
본선에도 진출하지 못한 것은 ‘이변 중 이변’ 평가
전주출신 한준호 본선행 티켓 거머줘 지역지지 절실

image
14일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예비경선에서 정견발표를 하는 이성윤, 한준호 의원(왼쪽부터)

전북정치권에 혜성처럼 등장했던 이성윤 의원(전주을)이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선거에서 컷오프되면서 전북정치권의 균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 다른 전주 출신 한준호 의원(경기 고양을)은 본선에 진출하면서 전북 출신 최고위원 모두가 예비경선에서 낙마하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

민주당이 14일 개최한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예비경선’에서 이성윤 의원이 현역 의원 중 유일하게 본경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22대 총선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당선된 이 의원의 컷오프는 ‘이변 중 이변’이라는 평가다.

민주당 차기 최고위원 후보를 선출하는 예비경선에서 통과한 후보는 전현희·한준호·강선우·정봉주·김민석·민형배·김병주·이언주 후보 등(기호순) 8명이었다. 앞으로 이들 중 5명이 오는 8월 18일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선출될 예정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가장 강력한 대항마를 자처했던 이 의원은 현 정부의 약점을 잘 파고들 수 있는 인물로 손꼽혔지만, 정치적 경험 부족이 발목을 잡았다.

비례대표가 아닌 호남의 지역구 의원인 만큼 ‘전북’이라는 지역구 내부에서부터 지지층을 확실하게 결집하는 조직력이 중요했지만 이를 챙기는 참모진도 턱 없이 부족했다.

이 의원 본인은 지역과의 소통에 상당한 의지와 애정을 보였지만, 국회의원 홀로 지역구 관리와 동료 의원들의 설득하는 게 얼마나 어려울 일인지 이번 예비경선 결과가 보여줬다는 게 전북정치권 관계자들의 평가다. 

과거 재선 의원으로 최고위원 후보로 나섰던 한병도 의원의 경우 본선에서 아깝게 낙마했지만, 정치적 경험이 풍부했던 만큼 컷오프는 면했었다. 

다만 두 전북 국회의원 모두 ‘겉으로는 지지하는 척 하지만, 속내에는 다른 뜻을 품고 있는 지리멸렬한 전북 정치’의 민낯을 보여준 것 아니냐는 평가도 나온다. 

image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8·18 전당대회 최고위원 예비경선. 3명의 대표 후보와 컷오프를 통과한 8명의 최고위원 후보들이 손을 들어 올리며 당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전북 출신 중 유일하게 8·18 전당대회 최고위원 후보에 오른 한준호 의원의 경우 고향 전북의 지지가 절실한 상황으로 전북지역 당원들이 뭉친다면 한 의원의 지도부 입성은 무난하다는 관측이다. 한 의원 본인 역시 열성 지지자 관리와 지역구 관리, 그리고 연고지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한 후보는 특히 최근 전북지역 당원들은 물론 전북 출신 인사들과의 접촉점을 늘려나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고위원에 당선되면 ‘거야’인 민주당 지도부 내 유일한 전북 출신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겠다는 것이다. 

MBC 아나운서 출신인 재선 한준호 의원은 이날 정견 발표에서 국회 언론개혁 선봉장을 자처하며 “언론을 개혁해야 정권 재창출이 가능하다”고 역설했다.

전주시 교동에서 출생한 한 의원은 전주에선 풍남초와 우석고(18회)를 졸업했다. 어린 시절 불우했던 그는 고향 전북에 대해 “아픈 기억과 포근함이 공존하는 곳”이라며 “(초선 국회의원에)당선됐을 때 가장 먼저 모교인 우석고등학교에 가서 교장 선생님과 선생님들께 인사드렸고, 조상님들 선산도 찾아 뵈었다”면서 고향에 대한 강한 애정을 드러낸 바 있다.

전북 현안과 관련해선 “전북지역 주요 사업과 관련한 이슈를 꼼꼼히 체크하고, 법안 발의와 상임위 차원의 지원에 성실히 동참하고 있는 의원”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윤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7일 개최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