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재학생들의 취∙창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디지털 교육이 시급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북대 총학생회는 지난 7월 3일부터 13일까지 재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재학생 응답자의 92.8%가 디지털교육이 취∙창업에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재학생 93.3%는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해서 어떠한 활동도 별도로 참여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면서 대학 본부 차원의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조사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이후 급속도로 진행되는 디지털 전환이 산업계 뿐만 아니라 우리 일상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전북대 학생들의 디지털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를 통한 문제점 개선을 위해 실시됐다.
조사에서 전북대 학생들은 디지털 교육을 위한 학교 자원은 충분하지만 '학교의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여부'를 묻는 질문에 80.7%가 경험이 없다고 응답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교육 관심분야로 AI 코딩(55%)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교육 과정으로 AI 코딩에 이어 메타버스(19%), 3D프린터(11%), 스마트팜(8.2%). 자율주행자동차(6%) 등 순으로 관심이 높았다.
또한 고용노동부에서 실시하는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에 대해선 80.7%가 받아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디지털 교육과 관련해 학교 또는 지자체에 바라는 점에 대한 질문에서는 AI 교육에 더 많은 기회 제공과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답해 학교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강현신 미라클평생교육원 원장은 "전북대는 지역 청년들에 대한 많은 정책과 관련해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글로컬 대학 선정 등 수천억원의 예산을 확보하는 성과가 있었다"면서 "하지만 이러한 예산이 지역 대학생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에 활용되고 있는지 점검해야 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기술이 취업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되어 있어 교육부가 2025년부터 코딩교육을 의무교육으로 실시할 계획이다"며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지역 청년 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대학이 관심을 갖고 들여다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