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는 콘텐츠·헤리티지가 강해 전국에서 상징적인 곳이지만 '로컬 크리에이터'가 많지 않더라고요. 앞으로 로컬 크리에이터(지역가치창업가)를 발굴·육성하는 것이 저희의 미션이죠."
지난 26일 전주 남부시장 문화공판장 작당에서 열린 로컬 브랜드 토크 콘서트 대담자로 참석한 국내 최장수 액셀러레이터 기업인 크립톤 양경준 대표의 말이다.
크립톤은 전라감영을 중심으로 형성된 전주 원도심 상권을 글로컬 상권으로 조성한다. 전주만의 전통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로컬 라이프 스타일을 바탕으로 지역 가치 향상·로컬 브랜드 개발, 지역 자원 아카이빙, 커뮤니티 상권 구축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양 대표는 "크립톤은 펀드를 가지고 있고 투자 기능이 있기 때문에 사업지 내 가능성 있는 팀을 육성해서 글로벌로 연결하려고 한다. 로컬 브랜드 멘토링·업그레이드를 통해서 로컬 크리에이터를 단계적으로 (글로벌로) 진출하도록 하려고 생각 중이다"고 말했다.
이렇듯 글로컬 상권의 핵심은 지역 특유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로컬 브랜드를 만들어 세방화(글로컬) 상권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열쇠를 쥐고 있는 로컬 크리에이터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지방소멸을 방지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 로컬 크리에이터의 역할은 너무나 소중하고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크 콘서트에서도 로컬 크리에이터 발굴·육성을 위해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마지막 순서인 '호남지역의 로컬 브랜드 상권' 대담자로 참석한 김슬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원은 "전북에 개인적으로 지원 받거나 각자의 역량으로 로컬 브랜드를 키워 나가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아직 전북의 정책은 따라가지 못한다는 생각이다. 아무래도 로컬 크리에이터·브랜드 개념이 정립돼 있지 않아 육성·지원도 쉽지 않았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의원이기 전 부안에서 작은 찐빵집을 아버지의 가치관 등을 이어받아 큰 규모로 키워낸 한 명의 로컬 크리에이터로 활동한 만큼 의원이 아닌 로컬 크리에이터 입장에서의 이야기를 아끼지 않았다.
그는 "지역 자원을 활용하면서 많은 활동을 했는데 지속가능성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 기업은 이익을 창출하지 않고 봉사·헌신만으로 유지하기 어렵다. 지역에서 로컬 크리에이터가 성장하고 자리 잡게끔 도와 줘야 하는데 미흡한 듯하다"면서 "로컬 크리에이터 등이 더 성장하고 지역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전했다.
한편 중기부는 지난달 지역(로컬) 콘텐츠 중심의 상권 기획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크립톤(전주시)을 포함한 세방화(글로컬) 상권 창출팀 3곳과 지역대표상표(로컬 브랜드) 상권 창출팀 5곳을 선정했다. 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출범식·페스타를 개최하고 공식적인 출발을 알렸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