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시군에서 신청한 19개 지구 중 7개 선도지구 선정
농생명산업 기본계획과 5개년 마스터플랜 수립해 산업 육성
전북자치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농생명산업지구 지정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농생명산업지구는 농생명자원의 생산·가공·유통·연구개발 등 산업의 집적화를 도모하는 정책이다.
도는 10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농생명산업지구위원회(11명, 위원장 경제부지사)를 열고 도내 12개 시군에서 신청한 19개 지구 중 7개 선도지구를 선정했다. 이는 전북특별법에 명시된 농생명산업지구 조성의 첫 단계로, 전북의 풍부한 농업 자원과 잠재력을 활용해 특화산업으로 육성하고, 국가적 거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이다.
선정된 7개 선도지구는 '농업생산 연계형' 4개소와 '혁신산업 중심형' 3개소로 구성된다.
농업생산 연계형에는 남원시 ECO 스마트팜, 장수군 저탄소 한우, 임실군 치즈, 고창군 김치지구가 포함됐다. 이 유형은 농업생산의 규모화와 조직화를 기반으로 연관 산업을 집적하고, 가치사슬을 강화하여 시장경쟁력과 농가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혁신산업 중심형으로는 익산시 동물의약품, 진안군 홍삼, 순창군 미생물 지구가 선정됐다. 이 유형은 농생명 첨단기술을 활용한 신산업 선점 및 집중 육성을 위해 관련 인프라와 연관 사업이 집적된 핵심 거점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는 내년 상반기까지 선정된 지구에 대한 인허가 의제 등 사전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지구 지정 고시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농생명산업지구로 지정되면 농업진흥지역 해제, 농지전용허가 등의 권한이 전북자치도로 이양돼 현장의 애로사항을 신속하게 해결하고 토지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생명산업 기본계획과 5개년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체계적인 산업 육성에 나설 예정이다. 이 계획은 연내에 농림축산식품부의 승인을 받을 계획으로, 전북특별자치도가 명실상부한 농생명산업수도로 육성될 수 있도록 발전방향 및 추진전략을 담고 있다.
김종훈 도 경제부지사는 "농생명산업지구에 집적화로 인한 시너지 효과와 각종 특례 및 규제완화로 국가 공모사업, 시범사업의 테스트베드로 활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며 "농생명산업지구에서 특례 적용, 행․재정적 지원을 통해 기업유치, 청년농 유입 등으로 특별자치도 출범의 의의와 성과를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