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청, 2024년 학교폭력 실태 조사 발표
전북학생 2.6% "학폭 경험"…피해 경험 전년대비 0.2%p 줄어
언어폭력-집단 따돌림-신체 폭력-사이버 폭력 순 '학폭 피해'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2024년 학교폭력 실태 조사에서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이 2.6%(2509명)로, 지난해 조사(0.2%p) 대비 소폭 감소했다고 26일 밝혔다.
조사는 도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학생 14만1848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15일부터 5월 14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뤄졌으며, 조사 대상의 68.6%인 9만7283명이 참여했다.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초등학교 5.4%, 중학교 2.3%, 고등학교 0.6%로 지난해 대비 초등학교는 0.4%p 증가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각각 0.6%p, 0.5%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유형별로는 언어폭력이 38.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집단 따돌림(16.7%) 신체 폭력(14.5%), 사이버 폭력(8.1%)순이었다.
지난해 대비 언어폭력이 9.5%p 크게 감소했고 강요, 성 관련 사안, 금품갈취, 스토깅 등이 소폭 증가했다.
이는 언어폭력에 대한 사회적 민감도가 높아졌고 관련 예방 프로그램 확대 및 다양화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도교육청은 설명했다.
피해 시간은 쉬는 시간(30.6%)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점심시간(21.4%), 하교이후 시간(11.2%)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 발생 장소는 학교 안이 74.8%로 학교 밖(22.6%)보다 많았다.
학교 안에서는 교실 안(28.5%), 복도·계단(18.6%), 운동장(10.1%)순이었다. 학교 밖에서는 사이버공간(6.3%) 학원이나 학원 근처(2.3%)등의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학교폭력 피해를 알린 대상은 학교 선생님(37.2%), 가족이나 친척(34.2%), 친구나 선후배(13.7%) 순으로 집계됐다.
학교폭력 가해 경험이 있다고 답한 학생 중에서는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 했다'는 응답이 32.8%로 가장 높았다. 이어 나를 괴롭협서(23.1%), 오해와 갈등으로(13.1%) 순이었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뒤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35.3%), '피해 학생을 위로하거나 도와줬다'(30.3%), '가해 학생을 말렸다'(17.1%)순으로 조사됐다. 목격시 적극적으로 도움을 준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 중심 및 학생 친화적 매체를 활용하여 방관자를 방어자로 전환하는 맞춤형 예방교육과 역할극을 확대하고 학교폭력 조기 감지 및 대응 체계 강화와 신종 학교폭력 대응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 체계 구축 및 상설협의체 운영을 강화할 계획이다.
김지유 민주시민교육과장은 “안전하고 평화로운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각종 예방활동으로 전년대비 피해응답률이 소폭 감소한 것 같다”면서 “학교는 사회구성원이 될 우리 아이들에게 안전한 공간이어야 한다.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평화롭고 안전한 학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