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 전북특별자치도를 방문하는 누적 관광객 수가 1억명을 눈앞에 두고 있지만, 대부분 단기, 음식 관광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나 체류형 관광 등 지역경제 발전으로 이끌 정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 미식 예능의 선풍적인 인기로 한국 전통음식의 고장인 전북이 전국 관광객의 주목을 받고 있지만 관광 소비가 식음료업에 치중되고 있고 지자체 차원의 숙박과 MICE 산업 같은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활성화 유인책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22일 한국관광공사 데이터랩 지역별 관광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을 찾은 관광객 분석 결과, 방문자의 43.6%가 방문 이유로 음식을 꼽았다.
해당 조사는 이동통신사, 신용카드사, 네비게이션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계 분석 자료다. 개별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직접 설문조사 방식이 아닌, 디지털 데이터의 집계와 분석을 통해 방문객의 이동 패턴, 소비 행태, 방문 목적 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특히 전북은 관광 소비지출 중 식음료업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북의 관광 소비 총액 7504억 원 중 식음료업 지출은 4517억 원(60%)에 달했다. 이는 전주 한옥마을의 비빔밥, 군산의 빵과 해산물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먹거리가 전국에서 입소문을 타며 관광객의 관심을 끌었던 덕분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인기에 힘입어 전북 방문 관광객 수는 2019년부터 매년 8000만 명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는 9월 기준 이미 9000만 명을 넘어섰으며, 연말 특수를 고려하면 1억 명 돌파가 예상된다.
그러나 관광객 증가가 지역경제 활성화로 직결되지는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광 소비가 식음료업에 집중되면서 숙박업과 MICE 산업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의 성장은 미미한 실정이다.
또 도에 따르면 '전북 관광 소비지출'은 코로나19 여파로 2019년 8825억 원에서 2020년 7300억 원으로 16% 감소했다. 2022년에는 8005억 원으로 회복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다시 7504억 원으로 줄었다. 올해 10월 기준으로는 6135억 원에 그쳐, 연말까지도 7000억 원을 넘기기 어려울 전망이다.
반면, 전북과 비슷한 관광객 수를 보유한 전남은 지난해 관광수입 9971억 원, 충북은 1조 원을 돌파했다.
전북을 찾는 관광객의 숙박 비율도 낮은 편이다. 지난해 전북 방문 관광객 중 숙박객은 2406만 명으로 전체의 24.6%에 불과했다. 평균 숙박 일수도 1.63일로 전국 평균보다 0.12일 짧았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전북은 20~30대 젊은 관광객 비중이 높은데, 이들은 당일치기 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며 “교통 인프라가 잘 갖춰진 인근 지역으로 관광객이 유출되는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도는 음식관광에 집중된 흐름을 넘어 체류형 관광과 MICE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도는 도내 14개 시·군의 특성에 맞는 체류형 관광지 개발을 위해 ‘명품관광지 조성사업’을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또 전주컨벤션센터 건립과 숙박시설에 대한 민간투자 확대를 통해 MICE 산업의 기반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진관 도 관광산업과장은 “음식관광으로 얻은 관심을 기반으로 체류형 관광과 MICE 산업을 활성화하겠다”며 “인프라 개선과 전통과 현대를 결합한 전략적 관광 콘텐츠 개발로 전북 관광의 경제적 가치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