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2시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서 유치도시 최종 결정
대의원 76명의 선택...올림픽 종목 38개 단체가 승부 가를 전망
전북, 분산 개최 카드로 막판 표심 공략...인적 네트워크 총동원
2036 하계올림픽 유치에 도전할 우리나라 후보 도시가 28일 최종 확정된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해 11월 유치 도전을 공식 선언한 이후 올림픽 종목 분산 개최 전략을 앞세워 표심 공략에 나섰다. 특히 비수도권 연대를 구축하며 막판까지 총력전을 펼친 만큼 개최 성공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체육회는 28일 오후 2시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대의원총회를 열고 전북과 서울 중 한 곳을 국내 후보 도시로 선정한다. 총회에서 전북자치도와 서울시 양측이 각각 45분씩 프레젠테이션(PT) 시간을 배정받아 유치의 필요성과 비전을 강조할 예정이다. 프레젠테이션 발표자로는 김관영 지사와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나선다.
PT 이후에는 15분간의 질의응답이 진행된다. 대의원들은 올림픽 유치 계획의 실현 가능성, 재정 조달 방안, 인프라 구축 계획 등 핵심적인 부분을 놓고 질문을 던질 전망이다. 양측 유치단은 그동안 준비해온 논리를 총동원해 대의원들의 신뢰를 확보하는 데 주력하게 된다.
이어 체육회 평가위원회가 사전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평가위원회는 그동안 두 후보 지역의 올림픽 유치 역량과 실행 계획을 분석해왔다. 대의원들은 이 결과를 참고해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된다.
최종 후보지는 무기명 비밀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대한체육회 정관에 따라 이번 투표는 전체 대의원 120여 명 중 올림픽 종목 38개 단체의 대의원 2명씩 총 76명이 참여한다. 하계 31개 종목과 동계 7개 종목의 대표들이 직접 투표권을 행사하며, 사실상 이들의 선택이 승부를 좌우하게 된다.
앞서 도는 마지막까지 대의원 표심을 확보하기 위한 총력전을 펼쳐왔다. 지역 균형 발전을 주요 유치 명분으로 대구(육상·대구스타디움), 광주(수영·양궁·남부대학교 시립국제수영장 및 국제양궁장), 충북(체조·청주다목적실내체육관), 충남(테니스·충남국제테니스장), 전남 고흥(서핑·남열해수욕장)과 함께 올림픽을 분산 개최하는 계획을 강조해왔다. 비수도권 연대를 기반으로 한 이 전략은 해당 지역의 적극적인 동의를 얻으며 현실화되고 있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반면 서울은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해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올림픽을 치르겠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특히 지역 정치권도 모든 인적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힘을 보태고 있다. 전북 국회의원들은 ‘원팀’을 구성해 올림픽 유치 지원에 나섰다. 지난 달 23일 국회의원 조찬 간담회를 통해 유치 배경과 당위성을 공유하며 국회 차원의 협력을 요청했으며 대의원총회를 하루 앞둔 27일에도 국회를 찾아 막바지 협조를 구했다.
기초의회 차원의 지원도 활발하다. 전북시군의장협의회장인 남관우 전주시의회 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시군의회 홍보협력단’이 구성돼 전북 14개 시군의회 의원 196명이 전북 올림픽 유치를 위한 홍보 활동과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총회에서 모든 절차가 마무리되면 최종 유치 후보 도시는 같은 날 오후 6시께 발표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전북의 비전에 공감하는 대의원들이 많아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정치권과 체육계, 도민들이 한뜻으로 힘을 모으고 있는 만큼 반드시 유치해 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