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인구정책 시행계획, 인구감소지역 대응 계획 확정
출산, 청년, 노년층 지원 등 1조 3816억 원 투입 190개 사업 추진
전북특별자치도가 인구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출산율 반등세를 이어가기 위한 대응책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전북자치도는 인구감소 대응과 다자녀 가정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도민 의견을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의 출생아 수는 12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으며 합계출산율도 0.78명에서 0.81명으로 상승했다. 전북자치도는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도민 의견을 적극 반영한 정책 추진과 지속적인 지원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먼저 도는 ‘2025년 전북특별자치도 인구정책 시행계획’과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출산·양육 지원과 청년·고령층 맞춤형 정책을 포함한 1조 3816억 원 규모의 190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도는 올해를 제2차 인구정책 종합계획(2023~2027년)의 중반기로 보고 그동안의 정책 효과를 면밀히 분석해 출산율 반등세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겠다는 복안이다.
도는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정읍·남원·김제·진안·무주·장수·임실·순창·고창·부안 등 10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는 ‘2025년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도 마련했다. 이 계획에 따라 도는 결혼·출산 지원, 돌봄 확대, 특성화 교육 제공,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등 5대 전략을 중심으로 1590억 원을 투입해 76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도는 이번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정책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지난달 13일부터 26일까지 도민 의견을 수렴했으며, 이를 적극 반영해 주민 체감도를 높였다. 또 지난해 11월 발표한 ‘전북형 저출생 대책’의 핵심 사업인 △전북형 반할주택 조성 △한방 난임부부 지원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모아복합센터 건립 등을 포함해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천영평 도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시행계획을 통해 도의 인구정책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출산율 반등의 긍정적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