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바다가 아닌 땅에서 자라는 김 육상양식을 지역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적극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연구원(원장 이남호)이 28일 발간한 이슈브리핑에서는 ‘김 육상양식의 시대, 바다의 한계를 넘는다!’란 주제로 김 육상양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김 산업 구조 전환과 산업화 전략을 제시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최근 해양수산부 ‘김 육상양식 연구개발 공모사업’의 주관 지방자치단체로 선정됐다.
전북자치도가 김 육상양식 주관 지자체로 선정된 요인은 도 산하 수산기술연구소가 육상양식에 적합한 김 종자 생산부터 물김 생산까지 연중 고품질의 김 생산이 가능해지는 전주기 기술 체계를 자체 개발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번 전북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김 육상양식은 기존 바다양식이 기후변화로 바닷물이 뜨거워지면서 김 생산량이 급감하는 추세를 반영해 친환경성과 고부가가치를 겸비한 미래형 수산업 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이번 보고서를 통해서 연간 10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김 수출시장에서 표준화된 육상 김 생산체계를 구축할 경우 국내를 넘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K-김 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게 된다는 분석도 나왔다.
전북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전북의 독보적인 김 육상양식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화를 위한 실증단지 조성과 창업캠퍼스 운영, 민간 투자 유치 등 김 산업 전반의 육상양식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기존 바다양식 어업인과의 공존 전략과 청년 및 귀어인 육성, 스마트 기자재, 기능성 식품산업 등 산업 간 융복합을 통해 지역 일자리 창출과 산업 고도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는 설명을 내놓았다.
나정호 전북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김 육상양식은 단순한 생산방식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산업 구조 전환과 수산정책 혁신이란 이중 과제를 안고 있는 전략 분야이다”며 “K-김 육상양식 표준모델을 조기에 정립하고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킨다면 전북은 김 육상양식 시대를 이끄는 대한민국 수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