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상의, 2차례 걸쳐 전주·완주 지역 회원사 기업 통합 의견 조사
(찬성)완주 87.7%→76.3%·전주 89.8%→84.1%, "거점 광역도시 구축"
(반대)완주 12.3%→23.6%·전주 10.2%→15.9%, "독자 발전 저해 우려"
통합의 우선 과제로 "실질적 상생발전 약속이행 구체화" 꼽혀
전주상공회의소가 실시한 완주·전주 통합 관련 기업 설문조사에서 찬성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통합의 반대는 늘고 찬성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상의(회장 김정태)는 1차(2024년 10월 7일~29일, 271개 업체 응답)와 2차(6월 26일~7월 7일, 433개 업체 응답)로 나뉘어 기업 의견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완주 소재 기업들의 통합 찬성률은 1차 87.7%에서 2차 76.4%로 11.3%p 하락했다. 전주 소재 기업들 역시 1차 89.8%에서 2차 84.1%로 5.7%p 감소했다. 반면 반대 의견은 완주가 12.3%에서 23.6%로, 전주는 10.2%에서 15.9%로 각각 증가했다.
통합을 찬성하는 주요 이유로는 두 차례 조사 모두에서 '거점 광역도시 구축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1차 조사에서는 완주 18.8%, 전주 25.2%가 이를 꼽았고, 2차 조사에서는 완주 34.1%, 전주 36.5%로 더욱 높아졌다.
1차 조사에서는 완주 지역이 '낙후와 소멸위기 극복'과 '행정통합으로 운용비용절감'을 각각 17.7%로 두 번째 높은 찬성 이유로 꼽았다. 반면 전주는 '예산증가 및 복지증대(16.9%)'가 뒤를 이었다.
2차 조사에서는 완주와 전주 모두 '전북의 낙후와 소멸위기 극복(각각 18.9%·17.0%)', '통합에 따른 낙후 전북의 위상제고(15.2%·16.4%)' 순이었다.
반대 이유로는 1차 조사에서 완주는 '세금 부담 가중', '완주군 독자 발전 저해', '혐오시설 배치 우려', '전주로의 흡수통합으로 인한 소외', '예산·복지 감소'가 각각 18.2%로 고르게 분포했다. 전주는 '재정악화로 지원 감소'(25.0%)가 가장 높았다.
2차 조사에서는 '완주군 독자 발전 저해(완주 32.6%, 전주 30.1%)'와 '흡수통합으로 인한 소외(완주 17.4%, 전주 20.5%)'를 주요 우려 사항으로 지목했다.
통합 추진을 위한 우선 과제로는 1차 조사에서 완주는 '주민 통합 우려 해소'(29.0%)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고, 전주는 '실질적 약속 이행 구체화(23.3%)'를 제시했다.
2차 조사에서는 '실질적 약속 이행 구체화'(완주 41.5%·전주 34.6%)가 1순위였다. 이어 '자치단체 간 신뢰 구축'이 완주 22.8%, 전주 24.9%로 조사됐다.
김정태 회장은 "이번 조사는 순수하게 기업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며 "정치적이 아닌 경제적 판단에 근거해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접근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