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차기 당 대표를 뽑는 순회경선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전북의 민심과 당심이 당권경쟁의 핵심 승부처로 급부상했다.
이재명 정부 첫 집권 여당 대표 경쟁은 정청래·박찬대 후보의 양자 대결로 치러지고 있는데, 두 사람 모두 친명 그룹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만큼 결국 캐스팅보트는 당원이 가장 많은 호남, 그것도 부동표 비율이 높은 전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두 후보가 수차례 전북을 찾는 것도 전북에서 이기지 못하면 승리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북 국회의원들이 이번 전당대회에서 그 비중이 높아진 점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20일 정치권을 통해 입수한 ‘더불어민주당 광역별 선거인단’ 자료에 따르면 당 대표 선거 전북 선거인단은 15만8476명(대의원 904명·권리당원 15만7572명)으로 인구가 가장 많은 경기와 서울 등 수도권과 전남지역에 이어 전국에서 네 번째로 많았다.
인구 173만 명의 전북이 인구가 1369만9000명의 경기도나 933만5000명의 인구가 사는 서울과 비교할 때 당원 숫자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점도 눈여겨 볼 요인이다.
인구수에 비교해 높은 당원 숫자는 그만큼 ‘허수’가 적다는 것으로 민주당 전당대회 결과를 좌우할 파괴력을 갖고 있어서다.
실제 가장 많은 당 대표 선거인단을 보유한 경기도는 대의원 3707명, 권리당원 23만3599명으로 총 선거인단이 23만7306명으로 집계됐다. 인구가 8배 가까이 차이나는 지역인 전북과 비교하면 7만8830명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이다. 서울의 선거인단 수는 21만508명(대의원 3590명·권리당원 20만6918명)으로 그 폭이 더욱 줄어들었다. 전남은 17만2265명(대의원 944명·권리당원 17만1321명)으로 전북과 1만3789명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전북이 이번 당 대표 선거에서 전국단위로 얼마나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전북 다음으로 선거인단 수가 많은 지역은 광주인데, 광주지역 선거인단은 9만2888명(대의원 734명·권리당원 9만2154명)으로, 전북과 6만5588명이나 차이가 났다.
영남권은 9만1236명으로 부·울·경(7만3657명)과 대구·경북(1만7579명)을 다 합쳐도 단일 자치단체인 전북의 선거인단 수에 훨씬 못 미쳤다.
민주당 당 대표 전체 선거인단은 119만6217명으로 전북은 13.3%의 비중을 차지하지만, 단일 지자체로선 엄청난 파급력을 갖고 있다는 의미다. 호남 전체로 하면 순회경선에서 호남지역의 비중은 35%가 넘는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전북의 표는 수도권과 호남 중심 당내 구도에서 일종의 ‘균형추’ 역할을 하는 데다, 재경 도민 등 수도권 표심하고도 연결돼 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분석했다.
다른 관계자는 “‘전북 표심’의 향배가 곧 당락을 좌우할 수 있는 구조”라면서 “‘당내 선거’ 특성상 ‘지역 당원’의 결집력과 투표율이 실제 판세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를 증명하는 사례도 충분하다. 전주 출신인 한준호 의원은 지난해 8월 전당대회 최고위원 선거에서 전북 1위를 기록하면서 당선권 밖에서 단숨에 3위로 도약했었다. 당시 이성윤 의원이 본선에 오르지 못한 상황에서 자연스레 전북의 표는 한 후보에게 몰렸고, 최고위원 당선으로까지 이어졌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