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개 클럽, 4,485명의 동호인 활동
코트 중앙에 네트를 두고 넘어오는 공을 자신의 진영에 두 번 튀기 전에 라켓을 이용해 공을 상대 진영으로 넘기는 라켓 구기 스포츠, 바로 테니스다.
현대 테니스는 19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13세기 프랑스 귀족들이 작은 공을 손바닥으로 쳐서 주고받던 놀이인 ‘죄드폼(Jeu de Paume)’을 테니스의 전신으로 보기도 한다.
근대 이전에는 귀족들의 유흥스포츠로 시작되면서 오늘날에도 ‘귀족 스포츠’라는 별명이 붙기도 한다.
귀족들이 즐겨서 그런지 테니스 초기에는 프로 테니스 선수가 그랜드슬램 대회에 출전하는 것이 금지되기도 했다.
올림픽 원년 정식 종목인데다 대중적 스포츠임에도 불구하고 프로선수들의 참가를 금지했던 당시 올림픽 특성 때문에 64년이나 올림픽 정식 종목에서 빠져 있었던 적도 있다.
1924년 파리 올림픽부터 빠져 있었던 테니스는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아마추어 선수만 참가하는 것으로 타협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다가. 이후 논의 끝에 프로 선수도 참가하는 것으로 변경해 프로 선수들이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에 설 수 있게 됐다.
대한민국의 테니스는 구한말 고종황제 시절 땀을 내며 열심히 테니스를 치던 서양 외교관을 보고 ‘저런 힘든 일은 아랫것이나 시키지’라고 말했다는 우스갯소리도 전해지고 있지만, 한국에 처음으로 테니스가 전파된 곳은 거문도였다.
19세기인 1885년 영국군이 거문도를 점령하는 사건이 있었다.
당시 영국군은 신사적인 태도로 지역 주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영국 군인들과 거문도 주민들이 테니스를 함께 즐기며 전수됐다고 알려져 있다.
때문에 한국 최초의 테니스장인 해밀턴 테니스코트도 거문도에 있다.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테니스가 시작된 것은 1908년 회동구락부 테니스 동호회이며, 최초의 경기는 1927년 마이니치신문 경성지국이 주최한 테니스 선수권 대회다.
이후 생활체육으로 큰 인기를 끌면서 20세기에는 학교나 아파트 단지 등에 많은 테니스코트가 설치되면서 손쉽게 테니스를 접할 수 있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테니스를 즐기는 청년층 비중이 낮아지면서 테니스코트마져 많이 사라져 세대가 내려갈수록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테니스는 중장년층의 인기 속에 2010~2020년대 테니스 역사를 새로 쓰며 최고의 자리를 다투는 세 선수인 로저 페더러, 라파엘 나달, 노박 조코비치의 한국 내에서 큰 인기를 끌며 한국선수 한 명 없는 테니스 대회를 중계방송해도 시청률이 높게 나올 정도이다.
반면 그간의 한국 테니스 선수들의 국제대회 성과는 그리 좋지 못하다.
한국 테니스의 전설 이형택이 2006년 제15회 도하 아시안게임에서 남자 일반부 단체전 금메달과 남자 단식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정현이 테니스 4대 그랜드슬램 중 하나인 호주오픈에 출전해 노박 조코비치를 상대로 3:0으로 이기고, 테니스 샌드그렌과의 경기도 3:0으로 이기며 4강에 진출하는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며 세계랭킹 29위까지 올라 한국선수 중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이후 권순우가 2020년 개인랭킹 69위에 도달했고, 2021년 프랑스오픈에서 32강에 진출하는 등 분발했지만 여전히 세계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2022년 4대 그랜드슬램인 영국 윔블던 대회에 신설된 14세 이하부에서 전북 출신의 조세혁이 결승전에서 커렐 응구누에를 2:0으로 꺽고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도 있었다.
조세혁은 전북일보가 선정한 ‘2022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마니아층이 꽤 높은 종목이기에 국제대회 우승 등 대중적 스타 선수만 나와준다면 테니스는 제2의 부흥기를 맞을 것이다.
전북자치도테니스협회는 2010년 창립돼 현재 정을진 회장을 비롯해 6명의 부회장과 26명의 이사 등이 전북테니스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있다.
협회소속 전문체육선수도 전주금암초를 비롯한 12세이하부 19명의 선수와 전일중학교 등 15세이하부 15명, 남원거점스포츠클럽의 18세이하부 2명, 한일장신대 등 대학부 13명, 전북자치도테니스협회소속 실업팀 8명의 전문선수들이 훈련에 매진하고 있다.
하지만 보수 등 현실적인 문제로 지도자들이 감소하고 선수 영입마저 힘든 상황으로 초등·남자중등·남자고등부 선수들의 성적이 부진할 수밖에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올해 진안군에서 여자실업팀이 창단됐다. 이와 발맞춰 남자실업팀 창단에도 기업이나 지자체 등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체육시설 인프라에도 관심이 필요하다. 순창군에 있는 4개 면의 실내테니스코트를 제외하면 도내에 실내테니스코트가 전무한 실정이다. 선수들이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언제든지 연습할 수 있는 공간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도내 테니스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며 클럽 및 동호회 활동도 활발하다. 전주시에서만 73개 클럽에서 1776명이 활동하는 등 도내 14개 시·군에서 179개 클럽 4485명의 동호인들이 활발히 활동하며 테니스를 즐기고 있다.
전북테니스협회 정을진 회장은 “전북 선수들이 2~3년 전만해도 전국대회에서 상위권 성적을 유지했었는데 최근 그렇지 못해 선수육성에 더욱 더 힘을 기울이고 있다”며 “협회와 함께 전북체육회와 교육청 등도 적극적인 노력으로 선수와 지도자의 현실적인 문제해결과 테니스코트 등 인프라 구축에도 앞장서 주시길 바라며, 올해 진안군에 여자실업팀이 창단된 것과 함께 남자실업팀도 창단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