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국민연금 본부 이전 후 금융중심지 추진 10년째 공전 거듭
도, 금융중심지 개발계획 수립 올해 안 금융위에 신청서 제출 목표
전북에 지난 2015년 국민연금공단이 이전한 이후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추진했지만, 올해로 10년째 공전을 거듭하며 여전히 지정이 오리무중이다.
이런 가운데 금융위원회가 내년부터 2028년까지 향후 3년간 금융중심지 비전과 정책방향을 담을 '제7차 금융중심지 조성 및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에 나설 것으로 알려져 전북특별자치도가 지정을 위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자산운용 등 지역의 특화 산업을 기반으로 한 금융 모델을 수립한 뒤 도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올해 안으로 정부에 금융중심지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2일 전북도에 따르면 최근 '전북 금융중심지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도 홈페이지와 관보에 이를 게시했다.
도가 제시한 금융중심지 개발계획은 자산운용·농생명·기후에너지 등 전북의 특화된 산업을 토대로 핀테크 산업과 접목한 금융 모델이다.
이른바 전북형 금융중심지 모델이다.
기존 금융중심지인 서울 여의도(핀테크 기업 발굴 및 육성)와 부산 문현지구(해양특화금융)의 금융 모델들과 비교해 좀 더 차별화된 모델이라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도는 이번 계획안을 수립하면서 전북이 서울과 부산을 잇는 국내 금융 트라이앵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구상도 내놨다.
전북의 제3금융중심지 지정이 이뤄진다면 그 대상지역은 전북혁신도시와 만성지구 일대가 된다.
전북 혁신도시와 만성지구는 세계 3대 연기금인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가 자리해 있기도 하고 지난 8월에는 전국 최초로 핀테크 육성지구로 지정됐다.
이번 금융중심지 개발계획은 '금융중심지 조성과 발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금융중심지 지정을 신청하기 위해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문재인 정부와 윤석열 정부 당시 불발되고 총선, 지방선거, 대통령 선거 등 정치인들의 단골 공약으로 나왔지만 번번이 수포로 돌아가 이번 정부에선 과연 실현될지 관심을 모은다.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하고 반년이 다 되도록 현재까지 아직 이렇다 할 정책 논의조차 없는 분위기다.
최근에는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끝났지만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정치권에서 해묵은 현안으로 여기듯 관심조차 없는 모양새였다.
따라서 도가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해서는 정부 여당을 상대로 보다 적극적으로 설득 작업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중심지 지정에 대한 정부 여당의 시그널이 없더라도 이 대통령 임기 내 목표를 이루려면 확실한 어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도는 이재명 정부 핵심 공약인 ‘청년이 모이는 전북 금융특화도시 조성 및 제3금융중심지 지정’ 실현을 위해 자산운용 등 지역에 특화된 산업을 기반으로 금융 모델을 수립함으로써 올해 안에 반드시 금융중심지 지정 신청을 마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도는 지난 2017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가 이전한 뒤 글로벌 금융기관 16곳을 유치했고 이전한 금융기관에 인센티브 등을 통해 금융도시로서 기반도 다져왔다.
김인태 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새 정부 출범으로 금융정책의 방향이 새롭게 재편되는 지금이야말로 전북 금융산업이 도약할 절호의 기회"라며 "정치권과 긴밀히 공조해 금융중심지 지정을 반드시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