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투어리즘을 주창한 순창군이 사설공원묘지 설치 움직임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
순창에서도 자연경관 및 청정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는 복흥면 서마리 산87번지 일대 3만9천6백27평에 대규모 공원묘지 설치를 위한 사업계획이 구체화되자 지역발전협의회등 이지역 8개 사회단체가 공동으로 ‘공원묘지 반대 복흥면민 투쟁위원회(상임위원장 김기운·62)’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하지만 사업주측에서도 법적인 하자가 없고 사유재산 이용에 관한 사항이라며 주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지난 5일 10시 복흥면 복지회관에서 사업설명회를 여는 등 사업추진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이에 투쟁위원회측은 같은 날 4백여명의 지역주민이 참석한 가운데 복흥우체국앞에서 공원묘지 절대 반대 입장을 대내외에 천명함은 물론 행정당국의 명확한 답변을 요구하는 ‘공원묘지 시설 반대 결의대회’를 개최하며 맞섰다.
이날 집회에서 김기운 투쟁위원장은 “공원묘지 예정지가 강천산 및 내장산과 백양사등 주변 관광지의 중간임은 물론 군이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상송온천지구와 산등성이 하나 사이에 위치 관광소득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며 “추령천을 이용한 주민들의 식수 공급 및 청정농산물 생산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군이 허가를 불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회 중간에 대회장에 들른 임득춘 순창군수는 “지역주민의 절대다수가 반대하는 공원묘지는 군에서도 허가를 해주지 않겠다”며 “사업주 측에 불허 사실을 서면으로 정식 통보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대해 사업주인 이기순씨(51·여)는 “지난 2년간 사업추진을 위해 용역설계비, 진입로 확보 등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쏟아부었다”고 밝히고 “사업추진 초기에 사업예정지가 공원묘지로 가능한가에 대한 타당성 검토요구에 군이 해당부지에 한번도 나와보지 않는 등 무성의하고 애매한 태도를 보여 피해만 보게 됐다”며 “군에서 요구하는데로 다했는데 결과가 이래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다”고 호소했다.
한편 애향협의회 신용만 회장(48)은 “사업지역이 상수원수 수질 및 자연환경 보전 측면에서 입지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난해 5월 전주지방환경관리청의 환경성 검토 회신 당시 확실하게 불허를 결정했으면 사업주의 피해가 적었을 것”이라며 “이제는 상호간 갈등을 해소하고 혐오시설이 아닌 다른 사업분야에서 사업주를 도와주도록 지역주민들이 적극 나설 때”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