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잠시 실효를 거두는 듯 했던 부안군 인구늘리기가 지난해 말을 기점으로 주춤, 인구감소로 돌아서면서 지역경제 침체등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20일 군에 따르면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인 부안군은 70년대 당시 13만을 웃돌던 인구가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이농현상이 지속되면서 해마다 급격한 감소추세를 보여 지난 8월말 현재 고작 7만5천여명에 머물고 있다.
경기회복 및 생활수준향상에 따라 더욱 높아가고 있는 농촌의 자녀교육열기 또한 인구감소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 생존권을 빌미로 한 젊은 층의 탈농현상은 농어촌지역을 고령화로 몰아가, 노동력을 저하시키는 한편 노환등에 따른 사망 증가 등 자연감원까지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올해 8월말 현재 부안읍을 비롯 관내 읍면지역에 대한 타지역 전입인구의 수는 3백30여명에 출생인구는 52명으로 인구증가요인은 5백40여명에 머물고 있지만 감소요인은 사망53명을 비롯, 전출은 4백18명에 달하는등 7백60여명을 웃돌고 있다.
또, 같은 기간 출생률도 사망률에 비해 다소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감소추세는 지속적으로 이어져 매달 1백여명 이상이 관내 지역에서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군은 지난해 상주지역 주민등록등재운동등 인구늘리기를 시도, 2백여명의 인구를 늘렸으나, 이 운동이 공무원을 주요대상으로 한 편협적인 추진에 그치면서 한계를 드러낸 상황이다.
이와 함께 교육을 빙자한 지역민들의 무조건적인 도시집중현상은 농촌지역 인구감소는 물론 지역경제의 침체를 부추기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