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20:19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국제
일반기사

美전역 생물테러 연구소들,주민 저항 부딪혀

 

 

조지 W.부시 행정부가 25억달러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 각지에 생물테러 대책 연구소를 설립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나서  질병확산과 테러공격 유발, 주거환경 파괴를 우려한 시민들과 충돌,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은 현재 탄저균 테러 이후 대폭 강화된 생물테러 대책연구 계획에 따라 치명적인 병원균을 연구하는 각종 연구소와 실험실 수십군데가 신설되거나 확대되고 일부는 계획단계에 있으며, 특히 이들중 상당수가 대학 캠퍼스와 인구밀집지역, 산업단지 등에 산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UPI통신은 지난 두 달 사이 전국에서 약 20군데의 가동중인 고위험도 생물테러 방지 연구소를 찾아냈으며 약 40군데의 연구소가 신설중이거나 보강되고 있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 연구소는 1-4등급으로 구분되는데 최고등급인 4등급 시설을 유치할 계획인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UC 데이비스)의 경우 마버그와 에볼라, 라사 등 잘 알려지지도 않고 치료법도 없는 치명적 병원균들을 연구하게 된다.

 

연구소들은 이같은 병원균을 소량 생산해 백신이나 해독제 개발에 사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를 비롯, 수천마리의 동물을 상대로 실험하게 된다. 물론 실험대상 동물은 예외없이 죽게 되는데 이들 동물의 처리 문제가 주요 안전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UC 데이비스의 영장류센터에서 두살난 암컷 원숭이 한 마리가 도망친 뒤 영영 찾지 못한 사건도 일어났는데 연구실 당국은 이 원숭이가 병에 감염되지 않은 것이 확실하다고 말하고 있으나 인근 주민들은 극도로 불안해 하고 있다.

 

보스턴에서도 보스턴대학 메디컬 센터가 인구밀집지역인 사우스 엔드에 대형 생물테러방지 연구소를 신설할 계획으로 연방예산을 신청했으나 반대 단체들은 주민들에게 이에 따르는 위험이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며 이에 반대하고 있다.

 

이같은 사정은 뉴욕주에서도 비슷해 롱아일랜드 지역 주민 단체들과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은 거주지에서 2.4㎞ 밖에 떨어지지 않고 보스턴과 뉴욕에서도 가까운 플럼 아일랜드의 국방 연구소가 생물무기 연구 기관으로 등급이 상향조정되는데 반대하고 나섰다.

 

지진 다발 지역인데다 80㎞ 반경 안에 700만 인구가 밀집한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로런스 리버모어 핵무기시설에 생물무기 방어 연구시설을 추가하려는 에너지부의 계획이 진행되고 있으며 몬태나주 해밀턴에서는 생물무기 방어 연구소를 건설하려는 국립보건연구소(NIH)의 계획에 주민들이 반기를 들고 나섰다.

 

각종 군사시설과 비밀 생화학 실험실이 항상 주민들의 논란거리가 돼 온 유타주 에서는 유타주립대학이 최고 위험등급 연구소를 신설하려다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계획을 철회하기도 했다.

 

뉴욕시와 워싱턴 D.C., 플로리다주 등지에서 발생한 탄저균 테러공격 이후 조지 W.부시 대통령과 의회는 생물테러 대책을 대폭 강화하기로 결정, 무려 106억달러의 예산을 청구했으며 국방부는 물론 에너지부와 농무부, 보건부, 환경청, 나중에는 신설 국토안보부에 생물테러 대책 예산을 아낌없이 지원했다.

 

텍사스주 오스틴과 독일 함부르크에서 활동중인 사설 군축연구기관 선샤인 프로젝트에 따르면 신설 연구소들은 각각 150-300명의 과학자 및 기술자들을 고용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들 연구 시설이 완성되면 최고 6천명 가량의 전문가들이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병원균에 접근하게 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