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짓는 외지 주택건설회사
시장 54% 점유에도 도내업체와 협력 기피
도내에서 아파트 사업을 벌이고 있는 외지 주택건설업체들이 도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데다 하도급 등에서 도내 업체를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주에서 공사중인 P업체 등 일부는 아예 도내 협력업체는 전혀 없이 외지업체만 공사에 참여시키고 있어 지역자금 역외유출의 주범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북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서 시공중인 민간 공동주택 20개 단지 1만90호중 외지업체는 8개 단지 5천4백5호로 전체의 53.6%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에 뿌리를 박고 살아가고 있는 지역업체에 비해 외지업체의 공사가 많은 것은 택지분양때 공개경쟁입찰을 실시, 자금력이 풍부한 외지업체들이 이를 독식하기 때문이다. 외지업체들이 단순히 수치상으로 드러나는 이상으로 좋은 여건을 갖춘 곳에 대규모 단지로 대형 아파트를 짓고 있는 것.
그러나 이들은 이처럼 타향에서 대규모 사업을 벌이면서도 지역 협력업체 활용을 기피하고 있어 지역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도내 주택건설사업자들은 현재까지 발주된 1백17건 1천1백30억원의 공사중 92.3%인 98건 1천43억7천만원을 지역협력업체에 맡긴 반면, 외지업체들은 57건 1천1백74억원의 공사중 불과 29.7%인 25건 3백48억6천만원만을 도내 업체에게 할애한 것.
실제로 전주시내 P업체는 3건 1백25억7천만원의 공사를 모두 외지업체에게 맡겼고 진안 K업체는 2건 68억원을 외지업체가 공사하고 있다.
군산 D업체의 경우 13건 2백33억원의 발주공사중 2건 3억5천만원만을 지역업체에게 주고 나머지 98.5%인 11건 2백29억7천만원은 외지업체에게 맡겼다. 전주 S업체도 지역업체 할애비율이 30억원중 15%인 4억5천만원에 불과하다.
이처럼 외지주택사업자의 지역 협력업체 활용이 저조한 것은 외지업체들이 함께 일해온 기존의 협력사를 선호하는데다 도내업체 하도급을 의무화할 수 있는 관련 규정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외지업체의 도내 협력업체 기피로 지역자금이 역외로 유출되고 지역경제가 침체되며 지역의 전문건설업체들이 타격을 받고 있다”며 "도내 협력업체의 보호 육성을 위해 주택건설사업 계획 승인단계에서 하도급 금액의 50%이상을 지역소재 협력업체에게 할당하도록 조건을 부여하고, 우수 시공단지 등의 선정때 하도급 조건 이행사항을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